•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세기 이래의 秦漢 관문서 간독 형태와 명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 and Naming of Official Document Bamboo Slips of Han Dynasty unearthed from Northwest China since the 20th Centur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22.12
32P 미리보기
20세기 이래의 秦漢 관문서 간독 형태와 명칭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간학회
    · 수록지 정보 : 木簡과 文字 / 29호 / 29 ~ 60페이지
    · 저자명 : 리잉춘

    초록

    문화재의 하나로 봐야 한다는 속성은 간독의 주요 특징이 된다. 20세기 이후 중국 간독의 명명에는 두 가지 경향이 있다. 주로 전래 문헌의 기록 또는 간독에 적힌 글에 의해 명명을 하거나, 간독의 모양 또는 그 기능과 사용 방식에 의해 명명을 한다. 간독의 형태에 대한 연구는 ‘形’뿐만 아니라 이에 관한 제도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秦나라는 문서 작성에 관한 세밀한 제도적 규범이 있으며, 이는 漢나라에 계승되었을 것이다. 前漢 중기 이후에는 간독의 길이에 대한 규범이 형성되었다. 대나무와 나무로 되어 있는 서사 매체를 簡牘이라 부르는 것은 주로 위진, 수, 당나라 사람들의 습관이었다. 종합적 개념인 簡牘은 간독 사용 시대에 있어서 사람들의 간과 독에 대한 명확한 구별이 아니라 후대의 개념이었다. ‘후대’의 후대로서 우리는 ‘후대’의 종합적인 개념을 경계가 명확한 개념으로 사용하는 데 익숙하여 간, 독의 재질과 형태에 관한 연구에 혼란을 초래하게 되었다. 간과 독은 초기에는 주로 재질의 차이였는데 재질에 따라 제작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폭에 있어서도 차이가 생기게 되었다. 秦漢 이후에는 재질 상의 차이가 분명하지 않게 되었다. 後漢 사람들은 점차 재질이 아닌 넓이의 측면에서 이들을 구분했다. 근대 이후, 秦漢 간독의 형태, 제작, 사용, 명명, 그리고 간독의 형태를 토대로 한 관문서 분류와 기층 행정 운영에 관한 많은 연구성과가 공개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관문서 간독의 길이에 관한 규범, 일부 특수 형태의 간독 기능, 사용 방식에 대한 연구가 불충분하고, 전래 문헌에 대한 연구와 분석도 불충분하며, 연구의 파편화, 규칙 및 이론에 관한 탐구가 부족한 등의 문제가 있다.

    영어초록

    The attribute of cultural relics is the core feature of bamboo slips. Since the 20th century, there have been two trends in the naming of Chinese bamboo slips. First, it is mainly based on the records of handed-down documents or named after itself; Second, pay attention to the shape of bamboo slips as well as the function and use mode behind them. The study on the form of bamboo slips should pay attention not only to the “shape” but also to the “system”. In Qin Dynasty, there was a detailed system and standard in the producting and writing of document bamboo slips, which may was inherited by the Han Dynasty. After the middle of the Western Han Dynasty, the standard about the length of book bamboo slips was formed. Generally calling the bamboo and wooden writing carrier as “Bamboo Slips” was mainly the habit of Wei, Jin, Sui and Tang people. The collective concept of “Bamboo Slips” is not a specific definition of bamboo or wood slips in the era when they were used, but the idea of later generations. As the descendants of “later generations”, we are accustomed to regard the concept of writing carrier collection of “later generations” as a definite concept to use, which leads to the confusion in the study on the material and form of bamboo or wood slips. In the early period of bamboo or wood slips, the main difference is material. However, different materials lead to different ways of production, which also determines the difference in width and narrowness. After the Qin and Han Dynasty, the difference in material tended to fade. The Eastern Han people gradually did not distinguish them from material, but from width and narrowness. Since modern times, there have been fruitful studies on the form, production, use and naming of the Han bamboo slips unearthed from Northwest China, as well as the classification of official documents and the grassroots administrative operation, which are based on the form of bamboo slips.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remaining, such as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length and width of official document bamboo slips, as well as the function and use mode of some bamboo slips with special forms. Besides, the handed-down documents being used need further discernment and analysis, the research are fragment, and the law refinement and theoretical exploration are defici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木簡과 文字”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