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은식의 근대적 심학― ‘眞我’의 구성과 특징을 중심으로 (Park Eun-sik’s Modern Study of Mind-heart―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rue Self)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1.06
44P 미리보기
박은식의 근대적 심학― ‘眞我’의 구성과 특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114호 / 473 ~ 516페이지
    · 저자명 : 임부연

    초록

    본고의 목적은 한국 근대양명학의 嚆矢로 평가받는 白巖 朴殷植(1859~1925)의 근대적 심학을 그가 최후의 깨달음에서 제시한 ‘眞我’의 관념을 중심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백암은 유교의 전통에서 朱學과 王學을 모두 ‘道學’으로 인정하였지만 과학과 병행하면서 도덕적 인격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왕학이 현대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는 ‘의념[意]’과 ‘지식[知]’으로 구성한 ‘진아’를 제시하였는데, ‘의념’은 義理와 情慾의 발동기로서 眞僞와 善惡의 구별이 생기므로 도덕적 책임이 문제가 시작되는 지점이다. 이런 의미에서 《大學》에서 제시한 ‘誠意’의 공부가 중시되었으니, 성의는 실존적 僞善을 벗어나 ‘眞誠’과 ‘至誠’의 도덕적 이상을 추구하는 공부였다. 백암은 의념의 원천이 되는 지식을 見聞의 지식과 本然의 지식으로 구분하고 각각 과학과 철학의 영역에 대응시켰다. 특히 그는 본연의 지식을 통한 자기 성찰의 방식으로 견문의 지식을 간접적으로 주재하는 길을 제시하였다. ‘致良知’의 과제에서 ‘致’는 공부이고 ‘양지’는 본체가 되는데, 《王陽明先生實記》(1910)에서는 ‘양지’의 본체보다 事上磨鍊 중심으로 ‘치’의 공부를 중시하였다. 1925년 그의 최종적인 깨달음에서는 양지의 본능인 靈明이 모든 것을 주재할 수 있도록 마음의 오염을 부단히 정화하는 공부가 강조되었다. 다시 말해 《왕양명선생실기》에서는 구체적인 일의 실천을 통해 양지를 단련시키는 사상마련이 강조되었다면 최후의 깨달음에서는 양지 자체의 淨潔과 光明을 유지하는 내성적 실천이 중시되었다. 당시 량치차오(梁啓超)는 본질과 현상을 구분하고 자유로운 생명의 본질을 진아로 생각한 칸트(Kant)의 견해를 소개하면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불교의 ‘眞如’와 왕학의 ‘良知’를 진아로 규정하였다. 하지만 백암은 《대학》의 구도에 기초해서 의념과 지식으로 구성된 진아를 구성하였으니, 그의 진아는 양지의 본체뿐만 아니라 실존의 현실에서 공부하는 주체를 포괄한다는 점에서 독특한 개성이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seeks to illuminate BaekAm(白巖) Park Eun-sik(朴殷植, 1858~1927)’s modern study of mind-heart(心學) constructed on the idea of “true self(眞我)” that he, as the first scholar of modern study of Wang Yang-ming in korea, attained through his last enlightenment. Although he recognized the study of Zhu Xi(朱子) as the Dohak(道學, the study of Tao), he thought that the study of Wang Yang-ming was appropriate for modern times to establish moral personality in parallel with modern science. In his idea of true self made up of intention[意] and knowledge[知], intention as the divergent place of righteousness and desire was the starting point of moral responsibility. Therefore, he stressed the practice of making the intention sincere(誠意) in Great Learning (《大學》) to break free from existential hypocrisy(僞善) and pursue the moral ideal of true sincerity(眞誠) or ultimate sincerity(至誠). Knowledge as the source of intention was divided into the empirical knowledge and the innate good knowledge corresponding to science and philosophy, respectively. Especially he proposed a new way to control empirical knowledge indirectly by means of self-reflection through innate knowledge. The task of “the extension of innate good knowledge[致良知]” consisted of ‘extension’ as the practice and innate good knowledge as the substance. BaekAm, in True Record of Master Wang Yang-ming (《王陽明先生實記》, 1910), emphasized the tempering oneself through concrete affairs(事上磨鍊) as the practice rather than the substance of innate good knowledge. In his final enlightenment in 1925, the introspective practice of purifying the pollution of the mind was emphasized so that spiritual intelligence(靈明) as the instinct of innate good knowledge could sovereign everything. In other words, the introspective practice of maintaining the purity and brightness of innate good knowledge itself was emphasized in final enlightenment while the practice of tempering oneself through concrete affairs was emphasized in True Record of Master Wang Yang-ming. At that time Liang Qichao(梁啓超, 1873~1929), introducing Kant’s view that distinguished between essence and phenomena and regarded the essence of free life as true self, defined the Buddhism’s suchness(眞如) and Yang-ming’s innate good knowledge transcending time and space as true self. However, Park Eun-sik constructed a true self composed of intention and knowledge based on the composition of Great Learning, and his idea of true self was unique in that it encompassed not only the substance of innate good knowledge but also the subject of practice in existential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