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근대 풍경에 대한 회화적 이미지 연구: 시가 나오야(志賀直哉)의 「암야행로(暗夜行路)」를 중심으로 (Study on Pictorial Images of Scenes in Japan in Modern Times: Focused on 『Dark night journey』 by Shiga Naoya)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5.10
23P 미리보기
일본 근대 풍경에 대한 회화적 이미지 연구: 시가 나오야(志賀直哉)의 「암야행로(暗夜行路)」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도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도시연구: 역사·사회·문화 / 14호 / 227 ~ 249페이지
    · 저자명 : 한상숙

    초록

    시가 나오야(志賀直哉)는 시라카바파(白樺派)의 한 사람으로 미술에도 조예가 깊다고 알려진 작가이다. 서양의 사상과 문화의 영향을 받은 일본 근대 젊은이들처럼 시가도 계몽사상의 자유주의적 사고를 가지고 자아와 정신의 자유를 강조하며 기성세대의 권위를 부정하게 된다. 이러한 사고는 문학을 통해서‘자아 중심적 사고’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정신적 불안과 방황의 상황 속에서접한 자연과 고미술은 타자와의 관계를 원만하게 만드는 원동력이 되었고 정신적 불안은 안정을 되찾게 되었다. 여기서 보듯 시가는 다른 사람들이 서양에 주목하였을 때 본인은 동양적 고미술에 관심을 보이게 된다. 자아를 중요하게 여긴 시가 입장에서 근대화하기 위해 군중적 심리를 이용하는 국가에 저항하는 것은 당연하다. 일상적 풍경까지 국가가 지배하며 집단적 문화와 사고에 대한 강압으로 모두가 단편적이고 일률적인 모습을 취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거부이다. 그러므로 시가는 보잘 것 없는 작고 초라한 개체에 주목한다.
    집단적이고 군중적인 풍경이 아니라 개체의 풍경으로 집단에서 벗어난 자유를그리고 있다. 전체의 조화로움 속에서 하나하나의 개체의 존엄성을 소중히 다루고 있다고도 주장할 수 있다.
    시가는 『암야행로(暗夜行路)』 속에서 미술과 풍경 묘사로 자신의 자유주의적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국가가 제시하는 근대의 풍경이라는 집단적 모습속에서 시가는 조화롭지 않은 풍경을 발견한다. 어울리지 않는 근대화된 풍경과 일본의 자연 풍경에 대해 시가는 자신의 정서적 불안으로 비꼬아 은유한다.
    즉 작품 전반부에 흐르는 자신의 정서적 불안상태와 마찬가지로 지금의 풍경도 불안정적인 모습이라는 것이다. 국가가 관여한 강압적인 근대화의 모습 속에서 희석되어 버리는 일본 풍경은 자아의 상실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품 후반부에 갈등이 해소되는 과정 속에서 시가는 식물과 동물 하나하나에 시선을 집중시킨다. 개체에 집중한다는 것은 자아의 존재감을 나타내는 것이며 개체의 자유를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결국 풍경이란 시가가 강압적인 지배에서 벗어나고 싶은 자신의 자유를 표현하는 메타포인 것이다. 그러므로 시가는 작품을 통해 인위적인 풍경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풍경 또는 자아가 존재하는 자유로운 풍경을 바라고 있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As an author who follows the Shirakaba, Shiga Naoya is known for his vast extension of knowledge and taste on art. As young Japanese in modern times had been influenced by beliefs and literature of the West, Shiga had accepted liberalistic ways of thinking built upon the philosophy of enlightenment and emphasized liberty of egos and minds which eventually led him to disapprove authority of the older generation. What he had believed in or followed were presented with ‘ego-centered thinking’ in his literature. However, as for nature and ancient art that he had experienced in the midst of mental anxiety and wandering, they became drive to encourage him to build friendly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his mental anxiety was re-stabilized. As you can learn here, when everybody else focuses on the West, Shiga grows his interest in oriental ancient art. As far as Shiga who values egos the most believes, it is most natural for one to fight against a nation that would take advantage of mass psychology for modernization.
    Shiga’s battle is, after all, summarized as refusals to how the nation should control everything even including the most daily scenes and how the whole community should think, speak and act in all the same fragmentary manner as being forced to adapt themselves to group culture and thinking. That is why Shiga concentrates on individuals that seem worthless, little and humble. They are not these collective group scenes but individual scenes and, Shiga is drawing liberty from groups. The study understands that Shiga is handling dignity of each of the individuals very much dearly in the center of harmony of the whole.
    In 『Dark night journey』, Shiga talks about his liberalistic opinions as describing art and scenes. Shiga ends up discovering some inharmonious scenes in this group image that the nation had offered by calling it scene of modern times. He introduces those inharmonious modernized scene and natural landscape metaphorically in sarcasm using his mental anxiety. In other words, he claims that as he is mentally insecure in the beginning of the work, the scene at this moment feels unstable. The scenes in Japan which get diluted in the coercive process of modernization by the nation can be described as the loss of an ego. That is the reason for why Shiga turns attention to every single plant and animal in the end of the work in which conflicts are resolved. Focusing on an individual corresponds to presenting the existence of an ego as well as liberty of an individual. In short, when it comes to the scenes, they are considered a metaphor that would express how mush Shiga wants his own liberty from the coercive control. In the light of what had been discussed so far, this study now argues that what Shiga aims to realize through this work was never some artificial scenes but either natural scenes themselves or these other natural scenes in which egos actually do exi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시연구: 역사·사회·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