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웅진기 건물지의 평면변화와 위계 (Changes in Plan and Hierarchy in the Building of the Woongjin period of Baekj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3.06
26P 미리보기
백제 웅진기 건물지의 평면변화와 위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서고고학 / 55호 / 56 ~ 81페이지
    · 저자명 : 이현숙

    초록

    궁궐은 왕의 권위를 나타내는 格式을 갖춘 구조물로서, 고대 이래최대 복합 건축군이라고 할 수 있다. 동북아시아의 고대 국가들은 대체로 고대 중국의 궁궐을 모델로 삼아 궁궐을 영건하면서 다양한 規 範과 儀禮가 적용되었다. 그러나 자연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지형 조건, 그리고 도구의 사용과 생활 관습의 차이 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왕성 내 왕궁건축 조영에 있어서 해당지역의 지형과 환경에 기초한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백제 웅진기 왕성인 공산성 내 왕궁관련 건물지의 구조와 위계는 자연지형을 활용한 空間活用과 立地에대한 이해를 전제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건물의 지상구조는고고학적 조사를 기초로 상부구조를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제도로규정되어 있는 고대 건축의 위계자료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웅진기 백제왕성 내 건물지의 가장 큰 변화는 地上化, 평면 구조와 규모의 定型化, 칸에 의한 空間構成을 들 수 있다. 한성기에 비하여 건물지의 규모가 소형화되었으나, 목구조를 기초로 건물의 지상화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졌다는 특징을 살필 수 있다. 즉 웅진기 벽주건물은 통칸의 單室로 구성된 초기 평면 방형의 구조에서, 측면으로확장되면서 間에 의한 공간구획과 대형화가 이루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벽주건물과 함께 확인되는 굴립주건물지는 장랑식건물에의한 공간구획을 통하여 공적인 공간구성을 이루고 있으며, 칸에 의한 공간구획을 보이는 등 기능에 따른 공간구성과 位階가 區分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특히 추정왕궁지와 공북루 남쪽대지 중심영역내 5단 대지의 건물지 모두 계단상의 높은 대지를 조성한 후 건물을배치함으로써, 진입부에서 건물이 조망되는 앙각의 구조를 이루고있다. 즉 진입부의 낮은 곳에서 높은 곳의 건물을 올려다보는 仰角으로 조망되면서 일정한 視線이 强制되어, 건물의 권위를 부각시키고상징성을 강조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The palace is a formal structure representing the authority of the king and can be said to be the largest complex building group since ancient times. Ancient countries in Northeast Asia generally used ancient Chinese palaces as models and built palaces, and various norms and rituals were applied.
    However, sinc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nature, topographical conditions, and differences in the use of tools and living customs cannot be excluded, a review based on the topography and environment of the area is need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royal palace. Therefore, the structure and hierarchy of royal palace-related buildings in Gongsanseong Castle, which is the Castle of Woongjin in Baekje, need to be judged on the premise of understanding the use and location of space using natural terrai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ground buildings,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superstructure based on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so there is a limit to the hierarchical review of ancient architecture defined by the system. Accordingly, based on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building site in the Woongjin period Baekje Castle, and the spatial compartment that can be identified in the arrangement of the building within the unit space, we tried to understand the changes and hierarchies of the building site in the Woongjin period of Baekje.
    First of all, the biggest changes in the building site in Baekje's Castle during the Woongjin period include a ground building, standardization of plane structure and scale, and spatial composition by compartments. Although the size of the building site has been miniaturized compared to the Hanseong period, it can be seen that the grounding of the building has been stably carried out based on the wooden structure.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site shows that the Byeokju-building(벽주건물) and the Gulipju-building(굴립주건물) in the early Woongjin period are expanded from the initial planar structure to the side, resulting in space division and enlargement by the compartment.
    The hierarchy of Baekje building sites during the Woongjin period can be divided around location, plan and size, and left direction. As for the location, planned building arrangements were made after the site was divided by infrastructure such as roads and drainage channel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topography such as hilly lines and lowland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space was controlled in the left-facing arrangement that conformed to the location and land of the building, and the spatial composition and hierarchy according to the function were distinguished. The floor plan of the building is divided into a square Byeokju-building(벽주건물) and a Gulipju-building(굴립주건물).
    The distribution of buildings differs between the central building group and the surrounding building group. In the ruins related to the royal palace in the south of Gongbukru(공북루), the space is divided into five stages of land, and the land gradually increases. In addition, the presumed royal palace site forms a land as it gradually rises from the access road to the east. In other words, you enter while looking up at a building located on a high land from a low area. It's worth noting that it's forced to look up from a low point of view, which highlights the authority of the building and emphasizes symbo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