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행개념으로 바라본 식민지 조선의 근대성 (A Study on the Modernity in the Colonial Period of Joseon through the Concept of Fashi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0.09
32P 미리보기
유행개념으로 바라본 식민지 조선의 근대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71호 / 365 ~ 396페이지
    · 저자명 : 고지현

    초록

    한국에서 식민지시기에 대한 연구는 식민성과 근대성의 해명이라는 이중적 과제를 떠안고 있다. 이를 해결하는데 있어 식민지 근대성은 식민지수탈론과 식민지근대화론이라는 일면적 시각을 극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찰방식을 제공한다. 식민지 시기에 모더니티와의 접촉, 충격, 열광을 가장 단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유행이다.
    유행을 통해 식민지 조선은 생활 전반의 급격한 변화를 경험했다. 중요한 것은 조선의 식민지인이 유행을 통해 삶의 양식을 바꾸었다는 사실이 아니라, 서구식의 외관과 생활양식이 시대정신, 곧 근대성을 드러내는 코드로 작용했다는 점이다. 유행의선택은 근대성을 체현하고 혁신적 변화를 수용하는 것과 다름없었고, 첨단시대인의자격을 획득하는 일과도 같았다. 봉건성이 잔존한 식민지 조선에서 근대적 특성이내재한 현상이 대두한 것은 사실상 ‘전환’을 의미한다. 이 글은 1920~1930년대 대중잡지와 신문을 중심으로 당시 공론장을 뜨겁게 달구었던 유행이라는 현상을 통해식민지 조선의 근대성을 조명하고 있다. 이러한 고찰은 유행이라는 개념의 의미론적분석을 병행함과 동시에 그 사회문화적 성격을 바탕으로 담론적 헤게모니를 규명하는 시도로 나아가고 있다. 담론적 헤게모니 속에서 표면화되는 식민지 조선의 굴절에서 우리는 근대성의 식민지적 차이를 들여다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study on the colonial period in Korea has a dual task consisting of the explanation about colonialism and modernity. In order to solve this task,the colonial modernity provides a very useful method of consideration,which can be used to overcome the one-sided viewpoints such as the colonial exploitation theory and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The thing that expresses the process of contact, impact and enthusiasm with modernity during the colonial period is fashion. Through fashion, the colonial period of Joseon experienced a rapid change in people's lifestyles. What is important here is not the fact that the colonists of Joseon changed people's lifestyles through fashion. It is the fact that Western appearances and looks were applied as the codes for the spirit of the time, i.e. modernity. The selection of fashion was like the embodiment of modernity and the acceptance of revolutionary changes. The emergence of the phenomenon equipped with the modern characteristics in the colonial period of Joseon where the feudal characteristics still existed actually meant a 'change'. This study focuses on the modernity in the colonial period of Joseon through the phenomenon of fashion that caused various public disputes at that time by observing popular magazines and newspapers in 1920s to 1930s. Such a consideration applies a semantic analysis about the concept of fashion and an attempt to specify the discursive hegemony by considering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 Through discursive hegemony, it is possible to focus on the colonial difference for modernity by considering the refraction of the colonial period of Joseon which comes to the surf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