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인지 『文友』와 다점적 혼종의 문학 (Coterie Magazine Munwoo and Hybridism Litera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0.02
30P 미리보기
동인지 『文友』와 다점적 혼종의 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28권 / 179 ~ 208페이지
    · 저자명 : 이경돈

    초록

    1920년은 3.1운동 직후라는 점에서 또 미디어와 텍스트의 폭발이 일어났던 해라는 점에서 근대문학을 이해하는 첩경이 되는 해이다. 『문우』는 1920년 5월 경성에서 창간되었다. 『창조』가 1919년 2월에 일본에서 발행되었고, 『폐허』가 1920년 7월에 발행되었으니, 『여광』(1920. 3), 『근화』(1920. 4)와 함께 동인지시대를 열었던 주요 잡지 중 하나이다.
    노초 정백, 월탄 박종화, 노작 홍사용이 편집을 주도했고 박헌영과 이서구, 이일, 최정묵, 차동균이 동인으로 함께 했다. 이들은 모두 『문우』의 동인이었지만 이념적 경향성은 서로 달랐다. 정백과 박헌영은 빈곤으로 고통받는 조선인과 억압적 폭력적인 당대 사회에 천착한 작품으로 사회주의적 경향성을 보여주었고, 박종화는 전복적 의미를 내포한 상징주의를 주창하며 문학으로의 길을 제시했다. 전자가 사회적 귀속성이 강한 작품으로 문학으로서의 운동을 지향했다면, 후자는 상징주의를 전면에 내세워 자율적 문학으로 사회에 복귀하는 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서로 만나고 헤어진다. 반면 최정묵과 이서구 등은 문화주의적 개조론의 경향 하에 현실적이고 도구적인 의미로서 문학을 이해하는 동인들이었다.
    사회를 총체로 간주하고 그 안에서 문학의 자리와 역할을 찾고자 한 운동문학의 흐름과, 사회로부터 문학을 분리하고 다시 그 분리의 행위로써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 문학운동의 흐름이 『문우』에서 동시적으로 공존하고 있다. 또 현실에 대한 부정과 전복을 모색하는 경향과 현실 속에서 실현 가능한 방법을 모색하는 경향이 함께 지면을 채우고 있다. 이러한 공존은 그 자체로 『문우』의 성격을 규정하는 한편, 동인지시대의 다점성(多點性)과 혼종성(混種性)을 선명하게 드러낸다. 동인지시대의 의미를 재구성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coterie magazine Munwoo. Munwoo was published in May at Kyeongseung(Seoul). The members of Munwoo was Jung Baek, Park Jong-hwa, Hong Sa-yong, Park Hun-young, Lee Seo-goo, Lee Il, Choi Jung-mook, Cha Dong-Kyun. The members of Munwoo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First group which are represented by Jung Baek, Park Hun-young has socialistic propensity. Second group has symbolic tendency. Park Jong-hwa, Hong Sa-yong were involved in this second group. And the last group which involved Lee Seo-goo, Choi Jung-mook has melioristic trend. This groups has different ideas but they coexisted in the space that was made after Independence Movement Day (March 1). Literary coterie period was represented by Changjo, Baekjo, Pyeheo. And we can understand that these coterie magazines means an appearance of spontaneous literature. But Munwoo showed a strong social trend. When we consider Keunhwa, Yeokwang which was published at the almost same time, the evaluation about the literary coterie period will be changed. And then, we should reevaluate the period which has singularity, and mixed-characteris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