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 시기 차(茶)의 문화접변 (A Study of Acculturation of Green Tea in Colonial Korea under the Japanese Rul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08.12
35P 미리보기
식민지 시기 차(茶)의 문화접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31호 / 133 ~ 167페이지
    · 저자명 : 김동명

    초록

    본고는 일본제국주의의 지배하 식민지 조선에서 이루어진 문화 접변 중에서 차(茶)에 초점을 맞추어 그 실태를 규명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조선 후기에 이르러 침체상태로 구평형을 유지하던 차문화는 개항 이후 근대화의 물결 속에서 침체상태를 벗어나 새롭게 차문화를 도입하려는 부분적인 해체를 시작하고 있었다. 다음에 한일병합을 전후해서 일본인이 조선에 대거 이주하면서 일본 등에서 다량의 차가 이입되고 조선에서 근대적인 차재배가 시작됨으로써 기존의 조선의 차문화에 외래문화요소가 전파, 선택되었다. 그리고 여전히 소수이기는 하지만 일상생활에서 차를 마시는 조선인이 증가하면서 외래문화요소인 차문화가 마침내 조선에 수용되었다. 그러나 일본인이 일본식 다도를 조선인에게 널리 보급하려 하자 앉는 자세와 건축과 의복 등의 형식을 둘러싸고 조선인의 저항이 일어났다.
    한편, 차문화의 경우 기존에 조선에 존재하는 문화요소였다는 점에서 순조롭게 문화접변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격적인 문화접변이 조선인의 자발적인 필요성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았고, 일본제국주의 세력의 조선에의 팽창에 따른 이주 일본인에 의해 강제적인 상황에서 차문화요소가 전파, 선택되었다. 또한 일부 조선인 사이에 차문화가 수용되기는 했지만, 일본식 다도의 보급이 상징하듯 조선에서의 차의 문화접변은 일본제국주의의 지배를 강화하는 수단의 일환으로 일방적으로 진행됨으로써, 이에 대해 전면적인 형태는 아니지만 다도의 형식을 둘러싸고 조선인이 저항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nalyzes the realities of acculturation in Colonial Korean under the Japanese rule, focusing primarily on the green tea. The result was as follows. First, in the late Chosun dynasty era, did tea culture start spreading out of the inactive old stereotypical balance to introduce the new wave of tea culture since the port opening. Since the Korea was amalgamated by Japan, with the influx of Japanese people, new foreign tea types were brought in along with the new cultures and even Korea started cultivating those tea crops to adopt new things. Very few at first though, as the more people gradually started drinking teas, the foreign tea culture was gradually being adopted in Chosun. However, as Japanese tried to spread the Japanese teaism among Chosun people widely, the Chosun people were opposing to it's formulas such as sitting posture, architectures and costumes. Meanwhile, since teaism was already existing culture in Chosun, very smooth acculturation was expected in the first place. However, the actual acculturation wasn't in Chosun people's necessity and with the expansion of Japanese imperialism in Chosun, teaism was being spread and adopted by Chosun people in the begrudging manner. The tea culture was accepted by some Chosun people though, as the tea acculturation was being exploited and forced by means of Japan Imperialism enhancement, some Chosun people were showing resistant attitude towards it, not that directly thoug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