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천리마시대 속도와 '노인' 담론 (1) ― 『천리마』의 연재만화 <천리마 할아버지>를 중심으로 (Cheollima-Era Speed and Discourse on ‘Old Man' ― Focusing on Cheollima Grandpa, a Cartoon Serialized in the Cheollima Magazin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2.08
40P 미리보기
천리마시대 속도와 &#039;노인&#039; 담론 (1) ― 『천리마』의 연재만화 &lt;천리마 할아버지&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한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한인문학연구 / 33호 / 87 ~ 126페이지
    · 저자명 : 조은정

    초록

    천리마운동의 선전선동을 위해 창간된 북한 유일의 대중종합잡지 『천리마』에는 천리마시대 속도 질주성과 조응하기 어려운 ‘노인’들이 등장한다. 그들은 항일무장투쟁기 역사적 증언자, 수상 교시의 전파자, 농촌공동체의 어른 등으로 복수의 목소리를 내면서 사회주의 인민으로서의 자기 역할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실천했다. 이러한 『천리마』의 노인 담론을 대표하는 것은 창간 초기부터 1973년까지 연재된 만화 <천리마 할아버지>로 천리마시대를 관통하며 만화 캐릭터를 통해 노인의 표상을 형성했다. 이 글은 천리마기수 전형과 달리 사회주의 발전 속도에서 소외되거나 주변부에 머물렀을 것으로 상상되는 자들을 북한이 어떻게 대상화하였는지 <천리마 할아버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천리마 할아버지’는 농촌 중산층 대가족의 가부장이자 마을의 어른으로 노인 특유의 부지런함과 지혜를 활용해 노동시간과 노동현장의 틈을 메우며 마을사람들의 공경을 받았다. 증산경쟁과 시기단축의 과열을 보충하는 존재였던 이 노인은 2년여의 휴재 후 통신대학을 졸업하고 마을로 복귀하면서 모습이 달라진다. 독서와 기악합주 등의 교양을 갖추고 청년돌격대 못지않은 기력과 기술력을 선보이며 천리마기수 전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변신한 것이다. 마침내 노인의 마을이 천리마 작업반으로 선정되어 표창을 받고 이후 <천리마 할아버지>는 체제정당성을 입증하고 수상 교시를 전파하는 전형성에 고착되며 주체시대를 맞이한다.
    『천리마』의 노인 담론은 ‘청산리방법’을 전후하여 농촌 노동력 부족과 정치훈련의 미숙이라는 현실적 문제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출현하였다. 마을과 가족 공동체 관계의 거점이자 리터러시 능력의 하한선으로 노인을 발견한 것은 사회주의 교양의 계몽이 과제였던 대중종합지로서의 본령에 의거한 선택이었다. 노인 담론의 개진 속에서 ‘천리마 할아버지’의 표상이 구축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천리마시대 초기에는 노인의 느린 속도와 삶의 지혜가 존중되는, 즉 속도에 따른 수행능력의 기대에 사회적 배려와 융통성이 작동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속도정치가 질주하면서 점차 수행능력의 차이가 몰수되고 노인과 같은 주변적, 보충적 존재가 후경화 될 것이 예견된다.

    영어초록

    Cheollima, the only popular general magazine in North Korea launched for the propaganda of the Cheollima Campaign, features 'old men' who have difficulty in harmony with Cheollima-era's speed. As historical witnesses of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preachers of the dictator's teachings, and elders in rural communities, the ‘old men’ actively sought and practiced their roles as socialist people, offering their united voices. The representative of this discourse on the old men of Cheollima is Cheollima Grandpa, which was serialized from the beginning of its publication to 1973, forming the representation of the elderly through cartoon characters throughout the Cheollima era This paper sought to focus on Cheollima Granpa to examine how North Korea targeted those who were supposed to have been alienated from the pace of socialist development or stayed marginalized, unlike the Cheollima rider model.
    “Grandpa Cheollima” was a patriarch of a large rural middle-class family and a villagers’ senior, and was honored by the villagers, filling the gaps between working hours and the workplace by using his diligence and wisdom unique to the elderly. This old man, who served to help calm the overheating of competition for increased production and shortening of the period, changed his appearance as he returned to the village after graduating from an open university after a two-year contribution of articles to the media. He was transformed into a shape close to that of the Cheollima jockey, demonstrating his strength and technology comparable to those of the youth assault squad, equipped with the liberal arts including reading and instrumental ensemble. Finally, the village of the old man was selected as the Cheollima working group and received a commendation. Afterward, Cheollima Grandpa proved the legitimacy of the regime and entered the Juche era by adhering to the typical format of disseminating the Dictator's teachings.
    Considering this discourse on the old man, it is deemed that social consideration and flexibility acted on the expectation of performance competence in line with the speed in the early stage of North Korea's socialist development. However, as the underperformance and differences in performance competence are confiscated in the rush of speed politics, peripheral and supplementary beings such as the old man are gradually becoming marginalized. As such, Cheollima Grandpa is a work that reproduces the way in which the socialist equality values and the discourse on the speed of development are related, and the process in which the hierarchy is adju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한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