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홍재전서』 수록 正祖의 詩에 관한 小考 -‘아버지’와 주체형성의 문제와 관련하여- (King Chŏngcho's Self and his Poems in his Lineages: Blood, Politics and Philosoph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7.02
37P 미리보기
『홍재전서』 수록 正祖의 詩에 관한 小考 -‘아버지’와 주체형성의 문제와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55호 / 287 ~ 323페이지
    · 저자명 : 이상욱

    초록

    본고는 『홍재전서』 수록 시를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다. 정조는 ‘시사’(詩史)적 관점에서 특기할 만한 작품을 남기지 않아 그 동안 적극적인 논의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정조는 시 자체를 많이 남기지 않았고, 있는 시도 대부분 국왕으로서 의례적으로 쓴 작품들이 대부분이다. 또한 정조는 ‘문이재도론’의 입장에서 다분히 보수적인 시관을 가지고 있어, ‘문학사적’ 성취를 중요시하는 현대의 학계에서 크게 주목하지 않은 면도 있다. 하지만 본고는 기존의 문학사적 관점에서 다소 벗어나, 감정표현의 도구로서의 시의 역할에 주목하고, 정조 인생 단계 마다 미묘하게 변화하는 시의 내용들을 관찰하고자 했다. 궁극적으로는 18세기 후반 조선 사회의 중심에 있던 정조의 여러 선택과 행위의 맥락을 살펴볼 수 있는 배경적 토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홍재전서』 소재 정조의 시 작품들은, 인간 정조의 본 심리를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보다는, 정조라는 메타주체가 자기 검열과 취사(取捨)를 통해, ‘선택한’ 자기의 형상이라는 관점에서 접근될 것이다. 본고는 『홍재전서』 소재 시 작품을 대략 세손시절, 왕위에서의 전반기, 왕위에서의 후반기로 나누어 살펴보기로 한다. 본고에서 이와 같은 시기 구분은 정조의 시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기준으로 나누었으나, 시와 관련하지 않더라도 정조의 인생과 정치적 조건 및 위상 변화에 의해서도 시기가 위와 같이 구분되기도 한다. 세손시절은 대략 즉위 전까지를 뜻하며, 왕위에서의 전반기는 『시관』이 편집된 1792년까지, 후반기는 이후 서거하기 직전까지이다. 본고는 정조의 시 변화가, 정적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심리적으로 은밀히 의지하는 대상, 즉 ‘은유로서의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기인했다고 보며, 정조가 서거 직전 지은 「근화주부자시(謹和朱夫子詩)」 8수는 이 필생의 문제를 정조 나름대로 ‘해결’한 결과라고 본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poems which had been ultimately selected in the literary collection of King Chŏngcho, Hongjaejŏnsŏ. The poems of The King Chŏngcho, haven't been adequately noticed yet not only because he did not leave much of the poetry, and most of which was written in rather ceremonial circumstances than from expressive motivation, but also because he, who had a rather conservative viewpoint of literature, was on the other side of poets who have been popular among the modern literary historians. This paper explores, however, several trends of King Chŏngcho's poems along with his life story beyond the modern way of historicizing the poetry in the narrow terms of literature. It aims, eventually to reveal the context of his choices and actions, as a main player of Chosŏn society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In this study, King Chŏngcho himself reflected on the poetry pieces won't be identified with his existential self but will be regarded as a literary and rather artificial self that was purposedly created by his meta-self. This paper divides his lifetime into three stages: a prince period (1765-1776), an early period of his throne (1776-1792) and a late period of his throne (1792-1800). King Chŏngcho's poems of each period had changed on the basis of his relationships with the “Father” that was metaphorical object on which he psychologically relied when he needed to defend himself against his political enemies. 「Harmonized Rhymes on Zhu Hui's Poems 謹和朱夫子詩」 8 pieces which were written just before his death (1800) were ultimate “interpretation” on his place in the diverse kinds of line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