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智의 假 槪念의 硏究 (A Study of Chi-i's concept of Jia(假))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08.02
30P 미리보기
智의 假 槪念의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50호 / 283 ~ 312페이지
    · 저자명 : 지혜경

    초록

    삼제설(三諦說)은 지의 사상의 핵심적인 주장 가운데 하나이다. 지의의 삼제설은 양나라 시대 중국불교계의 핵심적 논의였던 이제(二諦)논의를 배경으로 형성되었다. 당시의 이제 논의 속에서 지의가 이제를 삼제설로 정립할 수 있었던 것은 가(假)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가란 시설(施設), 가명(假名)을 말한다. 본래 임시적 시설의 의미인 가는 성론사들에 의해 제법의 존재방식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중국의 성론사들에 의해 현상계의 제법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던 가는 삼론사들에 의해 실체에 치우친 견해로 비판받았다. 그러나 현상계의 제법을 설명하고자 하는 시대적 열망 속에서 지의에 의해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개념으로 정립된다. 지의는 기존의 삼가설을 하나의 체계로 이해하려고 했으며, 공사상에 입각하여 제법의 존재방식을 모순 없이 설명했다.
    단지 제법의 존재방식을 설명하는 개념이었던 가는 사교(四敎) 체계 속에서 의미의 전환을 갖게 된다. 다양한 방편을 포괄하는 의미로 변함으로써 가는 가제(假諦)가 된다. 가제의 정립은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첫째, 공제(空諦)와 가제(假諦), 진제(眞諦)와 속제(俗諦)가 모두 동등한 진리로 되면서 세간의 진리와 출세간의 진리의 위계가 사라지고, 세간의 진리를 폄하하지 않게 된 것이다. 이는 세간에 대한 긍정적 사유를 낳게 하였고 일상성을 강조하고 현실세계를 존중하는 지의의 세계관이 완성되었다. 이러한 지의의 세계관은 단지 지의에게서만 끝난 것이 아니라 이후 실천정신이 덧붙여져 일상성을 중시하는 선불교 형성의 토대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San-di(三諦: 空,假,中) theory (Three truths theory) is an essential doctrine in Chi-i's religious-philosophical system.. This core theory of Chi-i started with strong association with Er-di(二諦) theory (Two truths theory) in Liang(梁) Dynasty(502-557). Under his profound understanding on the two truths from a stanza (number) in Nāgārjuna's Fundamental Treatise on the Middle Way (中論, Mūlamadhyamakakārika), he proposed rather three truths theory to understand Buddhist ontology in harmonious and systematic way (圓融).
    Jia(假) originally means a fictitious name or the nominal in Indian buddhism. However, in the later period(南北朝), this concept has expanded to explaining as the way how phenomena exist in general by Cheng-lun-shi(成論師). However, it is criticized by Sam-lun-shi(三論師). According to them, this way of understanding Jia could be an extreme of Substantialism. With inhering previous discourses, Chi-i tries to understand the theory of san-jia(三假) from a holistic perspective. That is, he tries to flawlessly explain phenomena by means of emptiness.
    In Chi-i's system, the meaning of Jia, which merely explained the mode of existence of phenomena in other schools' systems, is transited under his system of four teachings (四敎). He views Jia as one of three truths with kong(空), zhong(中), not a tool merely explaining the mode of existence. The establishment of Jia as Jia-di(假諦) has two significant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m. First, by means of introducing Jia-di as one of three truths, the distinction between conventional and ultimate truths become invalid, and this holistic view enables to see the conventional truth equally important with the ultimate truth. It induces people to positively see the phenomenal world, when it completes Chi-i's system of emphasizing the truthfulness of everyday life. Second, this perspective heavily influences on Ch'an School. With developing its practicality based on Chi-i's view of affirming the phenomenal world as a truth, Ch'an School develops its unique way of living and practicing in the world non-dualistic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