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80년대 지역문학운동의 문화정치학 - 무크지『지평』과『전망』을 중심으로 (Cultural Politics of Regional Literary Movements in the 1980s - Focused on Magazines Horizon and Prospect)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1.12
52P 미리보기
1980년대 지역문학운동의 문화정치학 - 무크지『지평』과『전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89호 / 479 ~ 530페이지
    · 저자명 : 김경연

    초록

    이 글은『지평』과 『전망』을 중심으로 1980년대 부산의 무크지운동이 추동한 지역문학운동의 문화정치학을 독해한다. 1980년대 부산에는『지평』(1983),『전망』(1984), 『토박이』(1987), 『문학과실천』(1987), 『문학과현실』(1989) 등 다양한 무크지들이 출현하는데, 이들 무크지는 80년대 한국의 폭력적 정치상황에 저항하는 의식투쟁의 거처가 된 동시에 지역에 대한 성찰을 촉발하고 지형학적 상상력을 발동하면서 서울(중앙) 편향의 권위주의적 문학체제에 대항하는 문화투쟁의 거점이 되었다. 특히『지평』과 『전망』은 부산 무크지운동의 기원이자 정치문화적 헤게모니의 반성적 해체를 수행하면서 실천적 전략으로 ‘지방문학운동’을 견인한 전위적 매체이다. “지방문학의 활로 개척”, “문학의 지방주의”, “지방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 한국문학으로서의 세계문학” 등의 기치를 내걸고 편파적인 문학제도에 대한 대타의식과 지역을 재전유하고 지역/문학을 재발명하려는 의지를 선명히 한 부산의 무크운동은 문학의 민주화와 지방차지적 문화의 형성을 주장한 80년대 여타 지역 무크지들의 지향과 비교해서도 단연 강렬했다. 이러한 부산발 지역문학운동의 중심에 『지평』과 『전망』이 있었으며, 보편/특수에 잠재된 권력관계를 적시하고 보편으로 군림해온 ‘서울지역문학’을 적발하면서 부산지역문학의 주변성을 극복하고 보편/특수의 위계적 구조를 ‘복수 보편’의 평등한 체제로 재편하려는 문화정치적 기획의 중심에 『지평』과 『전망』의 비평주체들이 있었다. 이 글은 1980년대『지평』과 『전망』을 중심으로 부산의 무크운동이 기획한 방법으로서의 ‘지역주의’를 재독하고, 특히 지역문학운동을 견인했던 『지평』과 『전망』의 비평적 실천에 주목함으로써 1980년대 부산발 지역문학운동의 문화정치학을 탐사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mprehends the cultural politics of regional literary movements driven by the magazine movement in Busan in the 1980s, focusing on Horizon and Prospect. In the 1980s, various magazines like Horizon (1983), Prospect (1984), Natives (1987), Literature and Practice (1987), and Literature and Reality (1989) appeared in Busan. These magazines functioned as a dwelling of struggles for consciousness resisting the violent political circumstance of South Korea in the 1980s and became the foothold of cultural struggles that triggered an introspection of the region, developed topographic imaginations, and confronted the authoritative literary system biased toward Seoul (center). In particular, Horizon and Prospect were the origins of the magazine movement of Busan and the avant-garde mediums that drove ‘regional cultural movements’ with a practical strategy while executing reflective disbandment of political and cultural hegemony. The magazine movement of Busan put up the banners of “pioneering inroads into regional literature,” “regionalism of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as regional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as Korean literature.” At the same time, the magazine movement clarified its commitment to reappropriate the substitute awareness about the partial literary system and reinvent regions and literature. This movement was decisively more intense than the trends of magazines in other regions in the 1980s that insisted on the democratization of literature and the formation of local autonomous cultures. Horizon and Prospect were at the center of these regional cultural movements started from Busan. The critical subjects of Horizon and Prospect were at the core of cultural and political plans to specify the power relations latent in generality and specificity, uncover ‘regional literature of Seoul’ that had been dominating as the generality, overcome the marginality of regional literature of Busan, and reorganize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generality and specificity into an equal system of ‘multiple generalities.’ This paper attempted to reread ‘regionalism’ as a method devised by the magazine movement of Busan in the 1980s, led by Horizon and Prospect, and explore cultural politics of regional literary movements in the 1980s that started from Busan by paying attention to the critical practice of Horizon and Prosp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