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리지(地理志)에 기록한 전란(戰亂)의 공간적 치유와 그 의미 -홍경모(洪敬謨)의 중정남한지(重訂南漢志)를 중심으로- (Spatial Healing and Its Meaning of The war as Recorded in Geology -Hong Gyeong-mo, Jungjeongnamhanji-)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4.01
24P 미리보기
지리지(地理志)에 기록한 전란(戰亂)의 공간적 치유와 그 의미 -홍경모(洪敬謨)의 중정남한지(重訂南漢志)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70권 / 221 ~ 244페이지
    · 저자명 : 박소영

    초록

    이 논문은 홍경모(洪敬謨)의 『중정남한지(重訂南漢志)』(1846)에 수록된 병자호란(1636) 관련 기록의 특징과 의의를 문학 치유의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이다. 홍경모는 『중정남한지(重訂南漢志)』에서 오늘날 경기도 광주 지역인 ‘남한’의 지리적 특징과 공간성에 주목하여 64편목이라는 다양한 편제를 통해, 기존 관찬지와는 다른 새로운 지리지 창작을 시도했다. 오늘날에도 병자호란이라는 사건은 사실로서의 기록을 문학 작품이나 다른 글쓰기 방식으로 재창작하면서 끊임없이 재생산되고 고통의 연대를 형성하는 주요 기제로서 활용되고 있다. 그중 「성사(城史)」, 「일사(逸事)」, 「제영(題詠)」 항목은 홍경모가 남한산성과 광주 지역을 소재로 한 역사적 사건과 사실에 관한 기록으로, 200여 년 전의 병자호란(1636)의 기억을 다시금 재구한 까닭은 미래 대비를 위한 서술 의도가 담겨있다고 보았다. 「성사(城史)」 9, 10에서는 각각 백제시도(百濟始都)의 정당성을 확보하여 남한 지역의 공간성과 중요성을 서술하였다. 이러한 사실(史實)의 기록 외에도, 「일사(逸事)」와 「제영(題詠)」 항목을 삽입하여 전란에 대한 기억의 전승과 문학적 치유를 위한 글쓰기 창작을 시도하였다. 다양한 인물의 일화를 빌려 기록한 신이한 이야기들은 패전의 역사, 설욕의 기록들을 낱낱이 드러내기보다는, 미래를 위한 ‘기억의 전승’을 위한 서술 전략을 잘 보여준다. 객관적 사실로서의 지리지[史]와 서정적 글쓰기로서의 이야기[文]를 기록한 『중정남한지』를 통하여, 병자호란을 둘러싼 당대인의 기억의 전승 방식과 글쓰기를 통한 전란의 치유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records related to Byeongja Horan (1636) that are contained in Jungjeongnamhanji (1846)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healing. In Jungjeongnamhanji, Hong Gyeong-mo paid attention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ity of “Namhan,” which is today’s Gwangju area in Gyeonggi-do, and attempted to create a new geography that differed from the existing Gwanchanji through various organizations of item in 64 books. Even today, the case of Byeongja Horan is constantly reproduced and used as a major mechanism for creating solidarity through pain by recreating factual records through literary works or other writing methods. Among them, Seongsa, yilsa, and Jaeyoung are records of historical events and facts based on the Namhansanseong Fortress and Gwangju area, and the reason Hong Gyeong-mo reconstructed the memory of Byeongja Horan (1636) more than 200 years ago is believed to be based on the intention to prepare for the future. Seongsa 9 and 10, respectively, describe the spatiality and importance of the South Korean region by securing the legitimacy of Baekje City (百濟始都). In addition to the records of these facts, yilsa and Jaeyoung were written to transmit memories of the war and literary healing. The novel stories, which comprise anecdotes of various characters, demonstrate the narrative strategy of the “transmission of memories” for the future rather than revealing the history of defeat and records of revenge. Through Jungjungnamhanji, which records Ji-ji as an objective fact and a story as lyrical writing, we can examine the method of transmitting people’s memories of the day surrounding the Byeongjahoran and the healing aspects of the war through wri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