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시기 서울 ‘北部-西部 경계선’ 연접지 기초행정구역의 변동 (Changes in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s along the Borderline Between "Bukbu(北部) and Seobu(西部) Sections" of Seoul during the Modern Era)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2.06
42P 미리보기
근대시기 서울 ‘北部-西部 경계선’ 연접지 기초행정구역의 변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111호 / 51 ~ 92페이지
    · 저자명 : 이윤희

    초록

    조선시대 한성부의 五部 가운데 北部와 西部의 경계는 조선초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유지되어왔다. 경복궁 西十字閣에서 조금 북쪽으로 올라간 지점부터 서쪽으로 뻗은 길을 따라 옛 分繕工監 부근에 이르러 북쪽으로 올라가 다시 서쪽의 弼雲臺까지 이어지는 선이다. 이러한 경계선은 변함이 없었으나 갑오개혁기에 행정구역을 바꾸는 조치가 시작되어 이 지역에도 영향을 미쳤다.
    대한제국기에 시행된 토지조사와 호적조사로 자연촌 洞의 경계와 범위는 좀 더 자세히 윤곽이 드러나게 되었다. 일제강점기에 들어서서 대한제국기에 파악된 토지조사사업의 결과는 일제의 의도대로 이용되었다. 애초에 ‘동’은 행정구역 명칭이 아닌 자연촌의 명칭이었다. 그런데 행정구역을 재편하면서 자연촌을 두세 개의 ‘일부’로 분할하여 서로 다른 행정구역 ‘동’으로 소속 시켰다. 이러한 혼동을 가중 시킨 것이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京城府史』이다.
    『경성부사』는 部(署)-坊-契와 동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기본 자료로 인용되어왔다. 하지만 자연촌인 ‘동’을 계의 하위 행정구역 명칭으로 인식하게끔 기재하여 1914년 바뀐 행정구역으로서의 명칭인 ‘동’을 자연촌으로서의 명칭인 ‘동’과 동일하게 보았다. 이후 연구들이 오류를 파악하지 못한 채 이를 따름으로써 잘못된 인식을 키웠다.
    1914년 정・동 개편으로 자연촌이었던 동은 분할되어 서로 다른 행정구역 동으로 편제되거나 해체된 곳이 많았다. 이 때 형성된 북부-서부 연접지역의 6개 동 通義洞・體府洞・樓下洞과 積善洞・內資洞・弼雲洞도 그러한 문제를 포함하게 되었다. 그 문제는 오늘날까지 이어져 그 명칭과 경계가 그대로 행정구역 법정동으로 남아 있다.
    ‘북부-서부 경계선’ 연접지 행정구역의 변화에 주목하는 것은 단순한 행정체계의 흐름을 확인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다. 북부와 서부의 경계선을 확인함으로써 경계선 북쪽과 남쪽 지역, 곧 오늘날 ‘西村’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북부의 서쪽 구역과 그 남쪽 옛 서부에 속했던 구역의 차이점, 그리고 각 구역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데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北部-西部 경계선, 행정구역 洞, 자연촌 洞, 町・洞 개편, ‘西村’

    영어초록

    The borderline between Bukbu and Seobu, among the five administrative districts(五部) of Hanseongbu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were maintained from the early years of the dynasty to the Korean Empire period. It passes along the street extending westward from the point slightly north of Seosipjagak(西十字閣), a watchtower on the west side of Gyeongbokgung Palace), reaches the vicinity of Bunseongonggam(分繕工監), goes up north, and heads west to Pilundae(弼雲臺). Though this borderline was not changed, a measure to change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that had been started during the Gabo Reform affected these areas.
    Investigations on the land and family registers implemented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showed the border and range of dong as natural village in more detail. The result of land investigation project identified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was used as the Japanese had intend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ong(洞)" was originally the name of natural village, not administrative district. However, after the administrative district reorganization, this natural village was divided into two or three "sections, and they belonged to different administrative "dongs," respectively. What intensified this confusion was 『Kyungsungbusa』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yungsungbusa』 was cited to help understanding the relations of bu (seo)-bang-gye and dong. However, it stated the natural village "dong" as a sub-administrative district of gye to consider it as an administrative district, resulting in regarding the village “dong” and administrative district “dong” changed in 1914 as the same. Following this, later studies have had misconception about it without finding the error.
    After Jeong・Dong Reform was implemented in 1914, the natural "dong" was divided, being part of other administratively-created dongs respectively or dismantled. The six dongs of the Bukbu-Seobu junctions formed during this period-Tongui-dong, Chebu-dong, Nuha-dong, Jeokseon-dong, Naeja- dong, Pirun-dong-also included such a problem. It has continued to this day, and the names and borders remain as administratively legal districts.
    Paying attention to the changes in adjacent administrative districts of the "borderline between Bukbu and Seobu" is not simply to identify the flow of administrative system. Identification of the borderline between Bukbu and Seobu could be a starting point for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rthern and southern regions of the border, the western section of the north, also called “Seochon(西村, West Village) today, and the old western section of the south, and each area’s ide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