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불교조각과 접경지 요동의 종교유산과의 교류 고찰 (A Study on the Buddhist sculpture Art Exchanges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the Liaodong Reg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9.05
30P 미리보기
조선 불교조각과 접경지 요동의 종교유산과의 교류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83호 / 345 ~ 374페이지
    · 저자명 : 김경미

    초록

    요동지역은 역사적으로 중국과 우리나라의 접경유산(Transboundary Heritage)을지닌 중요한 곳이다. 이 지역은 한족의 영향보다는 우리나라와 북방민족의 세력권에 있었던 시기가 많았던 만큼 다양한 국경유산의 특징을 지닌다. 북방민족에 대한 언급은 『조선왕조실록』, 『국조보감』, 『기재사초』, 『간이집』, 『난중잡록』, 『동계집』 등의 고문헌을 통해 이들 지역에 거주하는 이들의 생활과 조선과의 관계를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명에서온 사신 예겸의 『요해편』(1469)과, 조선의 최부의 『표해록』(1478), 소세양(1486-1562) 의 『부경일기』(1533) 등과 같은 중국과 조선의 사행록에서 이들 지역의 사찰관람과 문화에 대해 언급되어 있다. 이들 지역은 이항복(1556-1618)이 북경을 다녀온 기록인 『조천록』(1598)을 볼 때 임진왜란 이후 더 많은 조선인들이 이주하여 거주하던 곳이다. 역사적으로 조선과 국경을 접했던 요동지역은 명의 통치권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북방민족이 활발하게 활동하면서 후금과 몽고의 문화가 유지되던 곳이었으며, 그들이 신봉하던 티베트 불교문화를 지속하고 있었던 지역임을 알 수 있다.
    이들 지역의 불교문화는 조선시대 태조 원년부터 행해진 부경사행에 참여한 사람들을 통해 조선에 유입될 수 있는 기반을 형성했다고 할 수 있다. 당시 허봉의 『조천기』(1574)를 비롯하여 15편의 사행록에는 요동의 백탑사를 비롯한 여러 사찰을 관람하고그곳의 현황과 사찰 내부를 설명하고 있다. 이들 지역에서 발전한 불교미술 양식은 요녕성 자항사 출토 조각이나 요녕성박물관 소장품을 토대로 볼 때, 티베트지역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티베트계 양식을 반영한 조각이 전한다. 특히 티베트계 명대 양식을보이는 요동지역 조각은 조선시대 불교조각의 양식 발전과 시대 흐름을 같이 한다. 이러한 사신들의 사찰관람은 접경지역이라는 요동의 위치를 통해 이 지역의 종교유산의특징이 조선내부에 티베트 불교미술에 대한 이해를 형성하였다. 또한 억불정책으로 인해 새로운 양식의 수용이 어려웠던 시대에 새로운 티베트계 양식이 조선 전반에 걸친불교미술의 양식으로 발전하는 것에 일정 정도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Liáodōng Peninsula (遼東省) was historically under more influence of Koreans or the northern people than that of Han Chinese. The records on the northern people can be found in various historical writings including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朝鮮王朝實錄), Gukjobogam (國朝寶鑑), Gijaesacho (寄齋史草), Ganijip (簡易集), Nanjungjaprok (亂中雜錄), and Donggyejip (桐溪集). From these records, we may learn more about the life of the northern people and their relations with Joseon. In addition, many travel records from diplomatic envoys―including Yohaephyeon (遼海編, 1469) by Ye-kyeom (倪謙), Phyohaerok (漂海錄, 1478) by Choi-bu (崔溥), and Bukyungilgi (赴京日記, 1533) by Soseyang (蘇世讓, 1486-1562)―during the Joseon Dynasty mention different races in the region including the Jurchen (女眞) and Khitan (契丹) people, and the Mongolians. Also, as it shows in Jochunrok (朝天錄, 1598)―the travel records written by Yi-Hangbok (李恒福, 1556-1618), many Korean immigrants were living in the region.
    What may be inferred from the facts is that the Liáodōng Peninsula to the north of Joseon had not been under constant rule of the Ming Dynasty. It was where the culture of the Later Jin (後金) and Mongolia (蒙古) had been prevalent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the northern people and their religion, Tibetan Buddhism.
    The regional Buddhism culture had a basis to flow into Joseon through Bukyungsahaeng (赴京使行)―regular diplomatic envoys to Ming since the first year of the King Taejo’s rule in Joseon. In fact, 15 different travel records―including Jochungi (朝天記, 1574) by Huh Bong (許篈)―describe the local temples in the Liáodōng region including the “White Stupa Temple (白塔寺)”, with explanations of the stupa and the inner parts of the place.
    The Buddhism art style cultivated in the region represents the Ming Dynasty art form reflecting the Tibetan culture and is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Buddhism sculpture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is process, it promoted cultural exchange through the borders and influx of understanding and tradition of the Tibetan Buddhism art into Joseon. Since it was difficult to adopt new styles due to the policy against Buddhism (抑佛政策) during the time, the distinctive and foreign style from the Tibetan region laid a foundation of Buddhism art style throughout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