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신장애인의 가족지지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ntal impaired of Family Support on Self-Efficacy)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8.12
10P 미리보기
정신장애인의 가족지지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8권 / 12호 / 671 ~ 680페이지
    · 저자명 : 한수미

    초록

    우리나라의 정신질환은 2017년 5월 정신보건법을 정신건강복지법으로 개정하면서 정신장애인에 대한 접근을 치료중심에서 재활모델을 거쳐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자립생활모델로 거듭나고 있다. 이는 정신질환이나 장애가 있더라도 당사자가 자신의 상황에 대한 통제력을 높여 자기결정권을 높일 수있는 개입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와 발맞추어 정신장애인 가족들의 의미도 과거의 부정적인 의미 에서 벗어나 치료와 재활에 원조할 수 있는 자원의 개념으로 전환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정신요 양시설의 수나 그 곳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의 수는 큰 감소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탈시설화는 과도 기적 상태에 놓여있다.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 통합의 저해요인으로 오랜 시설생활로 인해 무기력함과 낮은 자기효능감, 가족의 비협조적인 요인 등 당사자의 자립의지와 심리적 요인이 원인으로 작용 하고 있다.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 통합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신의 삶을 스스로 통제할 수있는 자기효능감 향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신장애인의 우울과 불안을 감소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가족지지를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가족지지가 정신장애인의 질병과 증상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중요한 요인임에도 불구 하고 정신요양시설 입소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가족지지를 긍정적, 부정적으로 구분하여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긍정적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In Korea, for mental disease, the Mental Health Act was revised into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in May, 2017. Along with that, the approaches for the mentally disabled have been changed from the treatment-oriented model to the rehabilitation model and to the independent life model for the sake of community integration. This means that it is focused on interventions to help those suffering from mental diseases or disorders to improve their control over their situations and enhance their rights of self-determination. Along with that, the meaning of families of the mentally disabled is also changing from the negative view in the past to the concept of resources that can aid their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As a matter of fact, however, the number of homes for the mentally disabled or those residing in them is not decreasing very much, and deinstitutionalization is presently in the transitional period. As hindrance factors that the mentally disabled face in terms of community integration, there are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will to live independently and their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lethargy coming from their long stay in the facility, low self-efficacy, and their family’s uncooperative factors. In order to realize their community integration and enhancement of their life quality, we should pay attention to improving their self-efficacy and heightening their control over their life on their own. To enhance their self-efficacy, it is needed to get rid of their depression and anxiety, and to improve their life quality, it is necessary to utilize family support as one of the crucial resources. Although family support is one of the main variables associated with self-efficacy which is ability that the mentally disabled have to manage their diseases and symptoms,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done on the disabled staying in homes for the mentally disabled. In this context, this author has tried to divide family support into two factors (positive & negative) and examine the effects of it on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results, when positive family support is provided more, their self-efficacy becomes more enhanc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