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웨이트 트레이닝의 운동강도 증가시 CBC 8종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mpact of Different Intensities of Weight Training on Immunue Functions and CBC 8 Clas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10.05
12P 미리보기
웨이트 트레이닝의 운동강도 증가시 CBC 8종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체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체육학회지 / 40호 / 647 ~ 658페이지
    · 저자명 : 강승민, 이원재, 김진환

    초록

    본 연구는 웨이트트레이닝의 운동강도에 따라 CBC-8종과 면역 반응에 대해 규명하고자 전문적인 트레이닝을 받은 2년 이상의 운동그룹 7명과 3개월 미만의 그룹 7명을 대상으로 안정시에 비해 1RM의 50%와 80%의 운동 후 혈액 내 면역세포와 효소, 혈액성분의 변화에 대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BC 8종의 변화1) WBC는 두 그룹 모두에서 1RM 50%보다 1RM 80%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RBC, Hb는 3개월 미만 그룹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2년 이상의 그룹에서는 1RM 50%보다 1RM 80%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Hct는 3개월 미만 그룹에서 강도별 변화의 차이는 없었으며, 2년 이상의 그룹에서는 1RM 50%보다 80%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4) MCV는 3개월 미만의 그룹에서 1RM 50%보다 80%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2년 이상 그룹에서는 1RM 80%보다 1RM 50%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5) MCH는 3개월 미만 그룹에서 1RM 50%보다 1RM 80%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2년이상 그룹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6) MCHC는 3개월 미만 그룹에서 1RM 50%보다 80%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2년 이상 그룹에서 1RM 50%보다 80%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7) Platelet은 3개월 미만 그룹에서 강도별 변화의 차이가 없었으며, 2년 이상 그룹에서는 1RM 50%보다 1RM 80%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면역물질의 변화1) CD3는 두 그룹 모두에서 운동강도별 변화의 차이가 없었다.
    2) CD4는 3개월 미만 그룹에서 운동강도별 변화의 차이가 없었으며, 2년 이상 그룹에서는 1RM 50%보다 1RM 80%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 CD8은 3개월 미만 그룹에서 운동강도별 변화의 차이가 없었으며, 2년 이상 그룹에서는 1RM 50%보다 80%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CD19은 3개월 미만 그룹에서 운동강도별 변화의 차이가 없었으며, 2년 이상 그룹에서는 1RM 50%보다 80%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5) IgA는 3개월 미만 그룹에서 운동강도별 변화의 차이가 없었으며, 2년 이상 그룹에서는 1RM 50%보다 80%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6) IgG는 두 그룹 모두에서 운동강도별 변화의 차이가 없었다.
    7) IgM은 3개월 비만그룹에서 운동강도별 변화의 차이가 없었으며, 2년 이상 그룹에서는 1RM 50%보다 80%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웨이트트레이닝의 1RM 50%, 80% 강도와 운동기간은 면역기능에 뚜렷한 반응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앞으로 CBC-8종과 면역계에 긍정적인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운동강도, 운동기간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개인에게 맞는 운동법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따라서, 운동강도와 운동기간에 따른 연구는 좀 더 이루어져야 하며, 신체의 면역성을 강화 시킬 수 있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운동 처방 프로그램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가 더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different intensity levels of weight training exercises at their various degrees of levels on immunity and fatigue, by measuring the changes in Immunocytes such as T and B cells, Immunoglobulin(IgA, IgG, IgM), and blood elements such as leucocyte, red cell, and blood platelet.
    The testes were 7 male persons of professional weight training at health clubs, and 7 male persons who have exercised weight training for less than 3 months. They exercised 50% of standard metabolic rates and 1RM and 80% of intensity, and then drew blood after exercises.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Among the blood elements, leucocytes(WBC) displayed a significant increase(p<.001) when the testees at the Under 3 month group and 2 year+group took exercise of 80%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while red cells(RBC) did not display an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the testees at the under 3 month group took exercise, and displayed a significant increase(p<.001) when the testees at the 2 year+group took exercise of 50% and 80%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Hemoglobin(Hb) significantly increased(p<.001) when the testees at the 2 year+group took exercise of 50% and 80%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2 year+group displayed a significant increase(p<.05) than under 3 month group when they took exercise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Red cells(HCT) significantly increased(p<.05) when the testees at the under 3 month group took exercise of 80%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while displaying a significant increase(p<.001) when the testees at the 2 year+group took exercise of 50% and 80%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Average red cell MCV displayed a significant increase(p<.05) when the testees at the under 3 month group took exercise of and 80%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while displaying a significant increase(p<.05) when the testees at the 2 year+group took exercise of 50%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For red cell average hemoglobin, the cases of MCH displayed a significant decrease(p<.01) when the testees at the under 3 month group took exercise of 80%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MCHC displayed a significant decrease(p<.01) when the testees at the under 3 month group took exercise of 80%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while displaying a significant increase(p<.01) when the testees at the 2 year+group took exercise of 80%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than when they took exercise of 50%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The testes at the 2 year+group displayed a significant increase than those at the under 3 month group when they took exercise of 50%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while displaying a significant increase(p<.05) when they took exercise of 80%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For blood platelets that act on blood coagulation, under 3 month group displayed a significant increase(p<.01) when they took exercise of 50% and 80%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while displaying a significant increase(p<.01) when the testes at the 2 year+group took exercise of 80%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Suppressor T cell(CD8) displayed a significant increase(p<.01) when the testees at the under 3 month group took exercise of 50% and 80%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while displaying a significant decrease(p<.001) when the testees at the 2 year+group took exercise 50% and 80%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B cell(CD19) didn’t display any significant difference for either of the two groups.
    A putative subtype of B limphocytes, Immunoglobulin were inspected after classifying them into IgA, IgG, and IgM.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IgA displayed a significant increase(p<.001) when the testees at the under 3 month group took exercise of 50% and 80%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while displaying a significant increase(p<.001) when the testees at the 2 year+group took exercise of 80%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IgG displayed a significant increase (p<.01) when the testees at the under 3 month group took exercise of 50% and 80%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while displaying a significant increase(p<.01) when the testees at the 2 year+group took exercise of 80% of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IgM displayed a significant increase(p<.01) when the testees at the under 3 month group took exercise of 50% and 80%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while displaying a significant increase(p<.001) when the testees at the 2 year+group took exercise of 80% of the 1RM standard metabolic rates.
    As shown above, when the intensity of weight training is increased, there a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with the degree of training intensity on immunity. Training therapiests should consider these facts to offer training intensity for trainees. For more effective weight training, further studies on training intensity should be perform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체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