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면증 디지털치료기기(DTx)의 초기 사용자 경험 개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st-Time User Experience of Digital Therapeutics for Insomnia Disorder)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24.09
16P 미리보기
불면증 디지털치료기기(DTx)의 초기 사용자 경험 개선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30권 / 3호 / 109 ~ 124페이지
    · 저자명 : 김혜수, 장순규, 윤재영

    초록

    디지털치료기기(Digital Therapeutics, DTx)의 등장으로 의료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으나, DTx는 아직초기 도입 단계로 인식과 활용이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불면증 인지행동치료법(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Insomnia, CBT-I)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한 불면증 DTx의 초기 사용자 경험(First-Time User Experience, FTUE)을 분석하여 서비스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FTUE는 DTx에 대한 정보 탐색, 처방 절차,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첫 사용 과정을 포함하는 시기로 정의되며, 이는 사용자에게 DTx의 첫 인상을 형성하고, 이용 의향과 향후 지속 사용에 결정적인 영향을미친다.
    연구 방법으로는 디지털치료기기(DTx), 소프트웨어의료기기(Software as Medical Device, SaMD)의 사용자 경험과 디지털 불면증 인지행동치료(Digital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Insomnia, dCBT-I)의 발전 과정과 현황을 고찰하였다. 불면증 DTx의 처방 과정을분석하고,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가 높은 20대 중반에서 40대 중반의 만성 불면증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사용자 관찰 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사용자 관찰 조사 결과, 불면증 DTx의 주요 문제점으로 환자 중심 설계의 미흡함이 확인되었다. 기존불면증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단순 디지털화로 인해 DTx는 사용자의 기대와 필요를 충분히 반영하지못했다. 특히, 병원에서의 초진 과정에서는 환자들이자신의 불면증 증상을 자세히 설명하고 의사와 심층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지만, 불면증 DTx의 수면 기초 설문은 불면증 환자의 다양하고 복잡한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진다. 이를 개선하기위한 프로토타입은 환자-의료진 간 정기적 평가 및피드백 시스템을 포함한 서비스 플로우, 개인 맞춤형사용자 경험, 그리고 의료진과의 소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채널 등을 포함한다. 검증 결과, 프로토타입은불면증 DTx에 대한 인식, 이용 의향, 유용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는 불면증 DTx 개발에서 환자의 요구사항 반영이 필수적임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DTx 사용자 경험 연구의 기초 자료로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e emergence of Digital Therapeutics (DTx) is transforming healthcare, but its adoption remains limited. This study analyzes the First-Time User Experience (FTUE) of Digital Therapeutics for Insomnia (DTx) implemented as a mobile application f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Insomnia (CBT-I), identifying service limitations and proposing directions for improvement. FTUE includes searching for information about DTx, prescription, application installation, and first use, which shapes user impressions and influences continued use.
    The study reviews the understanding of DTx, the user experience of Software as a Medical Device (SaMD),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Insomnia (dCBT-I). It analyzes the prescription process and conducts user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5 chronic insomnia patients aged mid-20s to mid-40s with high digital health literacy. Insights from this study led to the development of a prototype, which was then validated through user feedback.
    The study identified a lack of patient-centered design in DTx for Insomnia. The simple digitalization of CBT-I did not fully meet users’ expectations. While hospital consultations allow patients to describe symptoms and have in-depth discussions with doctors, the sleep questionnaire used in DTx for insomnia failed to capture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patient needs.
    The improved prototype incorporates regular evaluations, personalized experiences, and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patients and their healthcare providers. It received positive feedback regarding user perception, intent to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patient needs into DTx development and provides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