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왕팔괘도에 근거한 「장부론」의 기 흐름과 사상인의 청기(淸氣·淸汁)·탁재(濁滓)에 관한 고찰-<동의수세보원> 「장부론」을 중심으로 (A Study about Jangburon’s the Flow of Energy and SasangIn’s CheongGi·Takjae on the Diagram of King Wen’s Eight Erigram: Centering around the Jangburon in DonguiSuseBowon)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15.03
21P 미리보기
문왕팔괘도에 근거한 「장부론」의 기 흐름과 사상인의 청기(淸氣·淸汁)·탁재(濁滓)에 관한 고찰-&lt;동의수세보원&gt; 「장부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38권 / 1호 / 8 ~ 28페이지
    · 저자명 : 임병학

    초록

    이 글에서는 문왕팔괘도(文王八卦圖)에 근거하여 「장부론」에서 밝힌 수곡의 온기(溫氣)·열기(熱氣)·량기(凉氣)·한기(寒氣)의 기 흐름과 사상인(四象人)의 진해(津海)·고해(膏海)·유해(油海)·액해(液海)와 니해(膩海)·막해(膜海)·혈해(血海)·정해(精海)의 청기(청즙)·탁재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장부론」은 그 명칭에서부터 의학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장부론」이 인체의 사상적 구조와 생리적 작용(淸氣·濁滓)을 논하고 있지만, 『동의수세보원』 제1권은 사상의학의 철학적 원리를 중심으로 논하고 있기 때문에 철학적 사고에 의한 인간의 이해를 중심으로 연구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사상의학의 철학적 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툴(도구)인 문왕팔괘도에 근거하여, 수곡의 온기·열기·량기·한기의 기 흐름을 완성함으로써 인체의 기 흐름을 철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방법론을 만들었다.
    이에 사상의학의 핵심적 문제인 기 흐름을 단순히 인체의 상하의 작용으로 이해한 것을 넘어서, 문왕팔괘도를 통한 이해는 인체의 생리적 기 흐름을 철학적·원리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장부론」에서 논한 진해·고해·유해·액해와 니해·막해·혈해·정해의 청기·탁재를 사상인의 장부에 연계시켜 고찰한 결과 사상인의 장부의 특징을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이목비구와 폐비간신이 인격적 심관(心官)의 의미와 생리적 기관의 의미를 동시에 가지고 있음을 통해 인체의 생명성이 형이상의 인격성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즉, 인간의 생명성이 단순히 물리적 인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형이상의 인격성에 근거하고 있음을 통해 사상의학이 인간의 마음과 몸을 하나로 융합한 의학체계임이 드러나게 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consideration about the flow of energy(溫氣·熱氣·凉氣·寒氣) and CheongGi(淸氣)·Takjae(濁滓) of four‒shapes’ people that are disclosed in Jangburon(臟腑論) based on the Diagram of King Wen’s eight trigram.
    Jangburon makes us think it has content medical thing from the title, but chapter 1 of Donguisusebowon discussed philosophical principl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o we have to study understanding of person from philosophical thinking, although Jangburon told about four shapes stru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
    In this study, researcher made a methodology that can understand body’s energy flow on the basis of the Diagram of King Wen’s eight trigram that is a tool can understand philosophical principl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Understanding through the Diagram of King Wen’s eight trigram will be an opportunity not only can understand body’s top and bottom function but also can consider body’s physiological energy flow from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about energy flow, central question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nd Through study that Jinhae(津海)·Gohae(膏海)·Yuhae(油海)·Ekhae(液海) and CheongGi(淸氣)·Takjae(濁滓) of Nihae(膩海)·Makhae(膜海)·Hyulhae(血海)·Junghae(精海) link to Jangbu of four shapes people, can understand a feature of four shapes people’s Jangbu.
    Especially, Eyes·Ear·Nose·Mouth and Lungs·Spleen·Liver·Kidney have two means that one is moral Simkuan(心官) another is Physiological organ, so we know clearly human life is based on metaphysical character.
    Namely, four shapes medicine is medical system that fusing mind and body through human’s life is not only simply physical human body but also based on metaphysical charac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