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石棺을 통해 본 북방 장례문화와 텡그리즘 -고려와 요의 관계를 중심으로- (Northern funeral culture and Tengrism based on the Goryeo sarcophagus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Liao -)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22.06
22P 미리보기
고려 石棺을 통해 본 북방 장례문화와 텡그리즘 -고려와 요의 관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숭실사학 / 48호 / 153 ~ 174페이지
    · 저자명 : 이승희

    초록

    이 논문에서는 고려 11~12세기 귀족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장골용구인 石棺에 주목하여 고려와요나라의 장례문화와 전통적인 하늘신앙이 장의미술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 살펴본다. 석관은 곱게다듬은 6개의 돌판을 조립하여 만든다. 이 석관은 귀족들의 전유물로 표면에 四神圖, 연꽃, 비천등 다양한 문양을 장식하여 호화롭게 꾸몄다.
    석관은 고려와 요에서 이중장(複葬)과 불교식 火葬문화가 공통적으로 성행하던 시기인 11세기를 전후하여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사신도가 표현된 석관은 이미 북조시대부터 장례용구로 사용되었고, 요대에 몽골, 랴오닝성, 허베이성 등의 북방지역에서 다수 출토되어 이 시기에 유행했다는것을 알 수 있다. 고려 석관이 요대 석관의 영향을 직접 받았다는 사실은 석관의 조립방법과 사신도, 십이지 등의 표현법과 다양한 문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고려 석관 가운데 상판(天板)에 선각된 북두칠성과 카시오페이아는 고려시대 능묘의 내부에서나 볼 수 있는 소우주를 표현하고자 했던 의도를 보여준다. 고려와 요에서는 석관이 유행했던 시기에 특별히 동서양의 천문학적 지식이 반영한 천문도가 능묘의 천장벽화로 그려졌다. 그리고 천문도가 그려진 공간인 天空은 푸른 색으로 채색되었다. 북방문화권에서 하늘은 고대부터 신앙의 대상이었다. 샤머니즘 세계관에서 하늘은 ‘태초의 우주이자 푸른색을 지닌 하늘’로 인식되었다. 하늘은 생명이 잉태되고 돌아가는 곳이기도 한 근원적인 공간으로 북방문화권 사람들의 정신세계에깊이 내재되어 있다. 당시 사람들은 이러한 하늘에 대한 관념 혹은 인식을 망자의 공간인 무덤 속천장에 구현하고자 했던 것이다. 허베이성 宣化 下八里 요대의 능묘 천장 벽화에 보이는 하늘은대부분 푸른색으로 채색되어 있으며, 천장의 중앙에 활짝 핀 연꽃이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북방유목민족의 전통적인 하늘숭배신앙인 텡그리즘과 통치이념으로 삼았던 불교신앙이 혼재한 양상으로 이해된다. 결과적으로 새로운 탄생, 재생이라는 의미를 지닌 연꽃은 죽은 후 하늘로 돌아간다는 북방민족의 내세신앙을 보완해준다고도 할 수 있다. 고려 석관에 표현된 연꽃과 별자리문양은 11~12세기 북방문화권에서 보여주었던 하늘에 대한 신앙과 내세관을 함축하고 있다고 할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funeral culture and traditional belief in the sky deity of the Goryeo and Liao dynasties were projected into the funeral art, focusing on the sarcophagus, an ossuary tool popular among nobles in the 11th and 12th centuries of the Goryeo Dynasty. The casket was made by assembling six finely polished stone plates. As the exclusive property of the nobility, this stone coffin had the surface richly decorated with diverse patterns such as the four deities, lotus flowers, and heavenly maids.
    The sarcophagus appeared in earnest around the 11th century when the dual burial service and Buddhist cremation cultures became common in Goryeo and Liao.
    The four-god coffin had been used as a funeral tool since the Northern Dynasty of China. It was popular during the Liao Dynasty as many were excavated from northern regions such as Mongolia, Liaoning, and Hebei. The fact that Liao’s sarcophagus directly influenced Goryeo’s can be confirmed by the assembly method of the stone coffin, the expression method of the four deities and the Chinese zodiac, and other various patterns.
    The Big Dipper and Cassiopeia on the top of the Goryeo sarcophagus indicate the intention to express the microcosm that can only be seen inside the tombs of the Goryeo Dynasty. When the casket was famous in Goryeo and Liao, the astronomical diagram based on the knowledge of the Eastern and Western astronomy was specially painted on the ceiling murals of the tombs. Also, the sky was painted blue in the space where the astronomical chart was drawn. In the northern culture, the sky has been an object of religious belief since ancient times. In the shamanistic world view, the sky was considered ‘the beginning universe and the blue sky.’ The sky was a fundamental space where life was conceived and returned. Thus, it was deeply embedded in the spiritual world of people from northern cultures. People of that time attempted to embody this notion or perception of the sky on the tomb’s ceiling as the space of the dead. The sky on the tomb ceiling murals of the Liao Dynasty in Shafari Village, Shenhua District, Hebei Province, was primarily painted blue with a lotus flower in full bloom in the center of the ceiling. This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as a mixed aspect of Tengrism, the traditional sky worship religion of the northern nomadic peoples, and Buddhism, the ruling ideology. As a result, it can be inferred that the lotus flower, which meant new birth and rebirth, complemented the northern people’s belief in the afterlife that they would return to heaven after death.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lotus flower and constellation patterns expressed on the Goryeo sarcophagus implied the religious belief in the sky and the view of the afterlife that was shown in the northern cultur es of the 11th and 12th cen tu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숭실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