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HCI에서의 심미적 경험에 관한 프래그머티즘의 해명 (On Some Pragmatist Explanations of Aesthetic Experience in HCI)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11.06
30P 미리보기
HCI에서의 심미적 경험에 관한 프래그머티즘의 해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학예술학연구 / 33권 / 73 ~ 102페이지
    · 저자명 : 이재준

    초록

    본 논문은 미학의 방법론이 컴퓨터과학의 방법론으로서 수용되기 위한 융합의 가능성을 확인하려는 시도이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철학적 미학의 이론이 어떻게 컴퓨터과학을 위한 배경이론으로서,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컴퓨터공학의 실천, 특히 HCI(인간-컴퓨터 상호작용)를 위한 이론 모형으로서 적용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일이다.
    일군의 HCI 연구는 지난 10여 년 간 미학의 방법론을 수용해왔다. 초기 연구들은 주로 HCI인공물의 외양과 관련된 심미적 측면에 관심을 가졌고, 그 이후 연구들은 HCI에서 인간의 경험 측면, 특히 HCI인공물을 사용할 때 이루어지는 선호의 경험에 관심을 가졌다. 그러나 최근의 HCI 연구에서는 심미적 경험이 단순한 만족과 즐거움에 제한되지 않는 좀 더 복잡한 특성을 지닌 것이라는 자각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매카시와 라이트의 연구에서 대표적으로 드러난다. 매카시와 라이트의 HCI연구는 HCI에서의 경험을 존 듀이의 프래그머티즘 미학이 제시하는 심미적 경험으로까지 확장시킨다. 특히 이들의 연구는 앞선 연구들보다 풍부한 개념들과 이에 대한 체계들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논의의 타당성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들과 체계들은 부분적으로 모호하며 엄밀하게 논증되고 있지 못하다.
    본 논문은 HCI에서 심미적 경험을 설명하기 위해 분석적 방법 대신 구성적 방법을 사용하려는 매카시와 라이트의 전일론적 입장을 옹호하고, 다만 그들의 입장이 지닌 모호함을 극복하기 위해 듀이의 미학에서 사용된 심미적 경험의 구성작용을 근본적 구성주의 입장에서 재해석한다.
    듀이의 심미적 경험 개념이 지닌 함축성에도 불구하고 그 모호성은 매카시와 라이트의 HCI 개념에도 그대로 반영된다. 듀이의 경험 개념은 경험 주체와 대상 사이의 대립을 전일론적 통일성에서 해소함으로써 인간과 컴퓨팅 머신 사이의 상호작용 관계를 매우 긍정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렇지만 이는 HCI 설계를 위한 이론 모형을 목표로 할 경우 매우 불충분한 설명일 수 있다. 듀이의 전일론적이고 구성주의적 설명은 현대 컴퓨터과학과 인지과학에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 근본적 구성주의와 유사한 입장을 취한다. 따라서 근본적 구성주의를 통해 매카시와 라이트의 개념을 좀 더 객관적인 방식으로 재해석할 수 있다. 특히 다우텐한 등이 제시한 신체화의 개념은 ‘경험의 연속성’이라는 테제를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에서 더욱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그들의 개념적 설명은 HCI에서의 심미적 경험을 설명하기 위한 토대론적 의미를 지닌다.
    프래그머티즘 미학은 HCI에서의 심미적 경험을 설명하기 위한 여타의 논의들에 비해 매우 적합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HCI 경험의 생산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더욱 구체화되고 엄밀한 논의로 진척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to be accepted the methodology of aesthetics as the methodology of computer science, and explores how the philosophical theories of aesthetics can be applied as the background theory for the practice of computer science, especially a model for the theory of the HCI(Human-Computer Interaction).
    Over the past 10 years, a group of HCI research has been to accept the methodology of aesthetics. Early studies primarily related to the appearance and aesthetic aspects of HCI artifacts, and then they paid attention to many aspects of human experience(preference) with HCI artifacts. However, the recent HCI researches accepted aesthetics are not restricted to simple satisfaction and pleasure experienced with HCI artifacts and are aware of the more complex attributes of aesthetic experiences.
    This recent trend is highly manifested in the study of McCarthy and Wright. McCarthy and Wright have rationalized the aesthetics of HCI by John Dewey's pragmatist aesthetics. In particular, their theoretical concepts and terms are discussed systematically than in other studies. But their using concepts and terms are partially ambiguous and therefore their discussion is insufficient to get the rigorousness.
    The paper supports their holistic stance that reputes the analytic method but accepts the constructivist method to explai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HCI, and reinterprets Dewey's constructivist concept of aesthetic experience with the radical constructivism in order to eliminate ambiguity of their discussion.
    Notwithstanding some deep implications of Dewey's constructivist explanation, its ambiguity has mirrored in their arguments: it shows many pathways to understand a continuous relation between human and machine(subject and object of experience), but doesn't provide any concrete theoretical models to design practical HCI artifacts. In the fundamental assumptions, Dewey's constructivist concepts are similar with radical constructivism that has provided contemporary computer science and cognitive science theoretical grounds. Radical Constructivist explanations of HCI, especially Dautenhan's definitions of embodiment of HCI give McCarthy and Wright's thesis, 'continuity of experience', more scientific and objective reasons.
    Eventually, pragmatist aesthetics provides HCI researches the valid background, but the pragmatist aesthetics of HCI such as McCarthy and Wright's research needs to be well refined and rigorous in order to be implemented into HCI practice nonethel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학예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