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정희 시에 내포된 불순한 신성(神聖)으로서 에로티즘 (The Erotism as Impure Divinity in Moon Chung-hee’s Poetr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17.09
28P 미리보기
문정희 시에 내포된 불순한 신성(神聖)으로서 에로티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74호 / 437 ~ 464페이지
    · 저자명 : 엄경희

    초록

    문정희 시에 내포된 에로티즘의 상상력은 우리가 일반적인 ‘사랑시’로부터 얻게 되는 감미로움이나 따듯함과는 거리가 먼 실존의 갱신과 연계된 강력한 에너지의 방출과 깊이 관련한다. 에로티즘의 충동은 사랑에 대한 일반적 관념에 의해 다듬어질 수 없는 거칠고 파괴적인 힘을 내장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에로티즘의 본질을 이루는 근본적 요소가 신성한 추(醜)와 깊이 연관된다는 것을 대부분 망각한다는 점이다. 문정희의 에로티즘적 상상력은 이와 같은 불순한 신성의세계를 노정한다는 점에서 우리 현대시사에서 매우 독자적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논의는 문정희 시에 드러난 에로티즘의 상상력을 여성 젠더(gender)의 문제로 환언하는 것을 유보하고 이를 인간 본성을 실현하고자 하는 실존의 축으로 확대하여 그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문정희의 시세계에 등장하는 가장 중요한 퍼소나는 자신을 ‘죄인’으로서 선포한 여성이라 할 수 있다. 이 죄인으로서 여성 화자는 시인의 에로티즘적 상상을 주도해가는 핵심 인물이라 할 수 있는데 문정희는 ‘죄의 피’로서의 정체성을 강조함으로써 에로티즘적 상상의 돌파구를 기초화한다. 이것은 태생적 부정성을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에너지의 방향을 에로티즘으로 선회시켜 재의미화하는 의식의 활동성을 내포한다. 여기에는 자신을 묶어놓은 ‘부정성’으로부터 스스로를 구원하고자 하는 자유 의지가 담겨 있다.
    그런데 그의 에로티즘의 상상 단계는 아무런 장애 없이 매끄럽게 진행되는 것이 아니다. 그의 에로티즘에는 희생제의(犧牲祭儀)적 단계가 중요한 과정으로자리 잡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에로티즘을 드러내는 다른 시인들의 시편에 잘 발견되지 않는 독특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문정희의 시에드러난 에로티즘은 ‘끈’의 상징성으로부터 파생된 결박, 찔림, 태워짐 등의 희생적 과정을 내포한다. 이 희생적 과정은 ‘신의 촉감’에 이르기 위한 통과의례라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실존의 의미를 새롭게 쇄신하기 위해 에로티즘과 제의적 단계를 유기적으로 결합시키고 있는 것이다. 한편 죽음에 가까운 이러한 자기 쇄신의 과정에는 ‘재생’이라는 강한 생명욕구가 무의식적으로 잠재되어 있다.
    희생제의적 단계를 거치면서 ‘다산(多産)하는 처녀’의 상징이 빈번하게 발견되는것은 이 때문이다. 문정희에게 ‘처녀’는 불순과 ‘죄의식’을 ‘축복’으로 바꾸며 ‘기적’을 낳는 신성한 재생의 몸이라 할 수 있다.
    문정희의 시세계에 드러난 에로티즘은 인간 본성에 충실하고자 하는 한 존재의 실존적 에너지를 보여준다. 한국현대시에는 이와 같은 에로티즘적 상상력이매우 빈곤한 편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유교적 전통과 인간의 본능 충동을 억압해온 근대의 합리주의가 이중으로 작동한 결과로 보인다. 그런 의미에서 문정희의 에로티즘적 상상력은 희소성으로서의 가치만이 아니라 근대에 억압된 인간본성을 깊이 재고하는 성과물로서로도 큰 의의를 지닌다.

    영어초록

    Far from the sweetness or warmness in common ‘love poetry,’ the imagination of erotism in Moon Chung-hee’s poetry is deeply related to the emission of powerful energy in connection with the renewal of existence. The drive of erotism has built in itself with wilde and destructive forces that could not be domesticated by the common idea of love. It is important that the essentially intrinsic element of erotism in deep connection with the divine ugliness has been forgotten in most cases. To the extent of its coursing the world of this impure divinity, Moon Chung-hee’s imagination of erotism seems to have a very singular value in Korean poetic history. To illuminate significances of this imagination in her poetry, this study tries thus to extend this imagination to an axis of existence for realization of human nature by keeping from translating this imagination into the problem of gender.
    The most important persona in Moon Chung-hee’s poetry can be a woman who declares herself a ‘sinner.’ This female speaker as a sinner is to be a central person leading the imagination of erotism of the poet Moon Chung-hee who founds the breakthrough of imagination of erotism by emphasizing the persona’s identity as the ‘sinning blood.’ This foundation involves not a negation against the persona’s inherent negativity but an activity of the persona’s consciousness turning her energy to erotism and re-signifying it. This activity contains the persona’s desire for saving herself from the ‘negativity’ binding down her.
    But it is not the persona’s imaginary stage that develops smoothly without any obstacle. A stage of sacrificial rite as an important process in the persona’s erotism is a peculiar phenomenon that is rarely found in poems revealing erotism of other poets. The erotism in Moon Chung-hee’s poetry involves concretely sacrificial processes of being bound, being pierced and being burnt that have been derived from the symbolicity of ‘cord.’ These form a initiation toward the touch of god.
    To innovate the significance of her existence, the persona combines organically erotism with the stage of sacrificial rite. An intense desire of life as ‘renewal’ is unconsciously latent in this innovation approaching death. Hence symbols of the ‘fertile virgin’ are frequently found in the stage of sacrificial rite. For Moon Chung-hee the ‘virgin’ is to be a sacred body of renewal to change ‘guilts’ into ‘blessings’ and to generate ‘miracles.’ The erotism in Moon Chung-hee’s poetry reveals the existential energy of a being for performing fully the human nature. Korean modern poetry seems to be very poor in this imagination of erotism.
    This result seems to come from a dual operation of the modern rationalism suppressing the confucian tradition and the instinctive drive of human. In this sense Moon Chung-hee’s imagination of erotism is not only to have a value of scarcity but also to be a achievement of rethinking deeply the human nature which has been suppressed in the modern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