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네오-콜버그학파의 새로운 지평: D. 나르바에즈의 신경생물학(Ⅱ) (The Neo-Kohlbergian New Horizon: D. Narvaez's Neurobiology(II))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12.06
37P 미리보기
네오-콜버그학파의 새로운 지평: D. 나르바에즈의 신경생물학(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학논총 / 29권 / 205 ~ 241페이지
    · 저자명 : 박장호

    초록

    본 논문(I, II)은 네오 콜버그학파의 대표 주자인 D. 나르바에즈의 최근 새로운 이론적 전환에 관한 분석이다.
    그녀는 레스트 제자로 1999년 네오 콜버그학파 선언에 동참한 후 콜버그이론의 선별적 계승과 레스트 도덕교육 접근법에 대한 이론 정당화, 즉 도덕판단은 암묵적 지식을 포함하는 스키마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에 기반한 DIT의 비교우위성을 논증하려 한다. 그녀는 렙스리와 만남을 통해서, 협소한 도덕판단에 대한 관심을 지양하고 사회-인지적 관점에서 스키마 형성과 도덕 정체성과 도덕적 인격의 연관성을 주장하며, 이를 전문성(expertise)개념으로 통합하면서 전문성 계발을 위한 ‘성찰적 인격교육(DCE)’을 주장하게 된다. 그러나 2005년 무렵, 그녀는 도덕적 기능(moral functioning) 이론의 체계화를 위한 도덕철학과 도덕심리학의 새로운 통섭 당위성을 강조한다.(이상 논문 I***)2007년 그녀는 신경과학과 신경생물학, 진화론에 입각한 종합적인 윤리 이론체계, 즉 삼층윤리이론(TET)을 구성하고 ‘포괄적 윤리교육(IEE)’와 연결짓는다. 더 나아가 삼층윤리이론 정교화에 힘쓰던 그녀는 곧이어 규범적 도달점으로서 마음챙김 도덕을 시사한다(이상 논문 II).

    영어초록

    These essays(I,II) are an intellectual-historical odyssey about a well known leading neo-kolbergian D. Narvaez' theories from as a graduate student of her mentor Rest's department, to as a present so-called ‘comprehensive moral psychologist’ against other different theorists. I trace the roots and shifting points of her researches about moral theory and moral education program, showing what makes her works seeking for the evolutionary neuroscientific ethical theory, TET, which may be astonishing to traditional or even new Kohlbergians.
    Under Rest's supervision, she was interested in participants' comprehension abilities about DIT dilemmas, which were supposed different and more important abilities in moral judgement development than formal moral reasoning that Rest's mentor, Kohlberg's MJI aims to measure. In 1999, she proclaimed Minnesota neo-kohlbergian Approach that begins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Kohlberg's main theoretical structures. After Rest was died in 1999, Narvaez realized that neo-Kolbergan approach's original construct schema is based on tacit knowledge, which make different developmental courses from Kohlergian's, meaning that DIT based on schema is a sound and adequate tool for real moral daily lives. Then, preferring moral functioning catergory which is corresponding to ‘4 components of morality’ to limited moral judgement concept, Narvaez with her husband Lapsley tries to bridge newly advanced construct, social-cognitive view of schema to moral identity, personality and character that are thought to be integrated to moral expertise or expert's abilities, which will be cultivated through ‘the deliberate character education’.
    However, during 2005-2006, Narvaez who already entered a complicated phase in educational practice, seeks to go beyond neo-Kohlbergian tradition, and establish a new comprehensive moral theory that could unite deliberate reasoning and tacit process or intuition, modern moral psychological frameworks and ancient moral philosophical categories such as virtue or character, de-moralized moral psychology and naturalized moral philosophy to justify the renewed moral education program, Integrative Ethical Education.
    This essay(II) covers the second period, during which Narvaez found new foundational disciplines in neuroscience and evolutionary theory, and established the Triune Ethics Theory which comprised mindful morality as ultimate morality and provided ‘integrative ethical education’ with a tool to implement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