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성숙한 암컷 흰쥐 시상하부의 신경회로에 미치는 Genistein의 직접 작용 : 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아형 경로? (Direct Action of Genistein on the Hypothalamic Neuronal Circuits in Prepubertal Female Rats : Estrogen Receptor Beta(ERβ) Pathway?)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11.06
7P 미리보기
미성숙한 암컷 흰쥐 시상하부의 신경회로에 미치는 Genistein의 직접 작용 : 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아형 경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발생생물학회
    · 수록지 정보 : 발생과 생식 / 15권 / 2호 / 179 ~ 185페이지
    · 저자명 : 허현진, 이성호

    초록

    콩이나 적포도주의 식물성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은 건강에 부정적이기보다는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콩류 섭취는 유방암이나 골다공증, 그리고 심혈관계 질환 예방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콩류, 특히 그 주성분인 genistein(GS)이 상기한 긍정적인 효과 외에도 여성의 생식계에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계속되어왔다. 선행 연구에서 본 연구자들은 사춘기 전에 genistein(GS)을 경구 투여했을 때 암컷 흰쥐의 생식계가 활성화되어 사춘기 개시가 조기에 유도되고, 암컷 성체에 GS를 뇌실내로 미세주입했을 때 kisspeptin-GnRH 뉴런회로 활성화가 일어남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춘기 전 암컷 흰쥐에서 의 시상하부 특이적인 GS 투여 효과와 이에 관여하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아형(ERα과 ERβ)을 조사하였다. 사춘기 전 암컷 흰쥐(SD strain, PND 30)를 마취시킨 후 GS(3.4 ㎍/animal)를 1회 뇌실내로 미세 주입하고, 2시간 후 희생시켰다. 시상하부내 생식조절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기 위해, RNA를 추출한 후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을 시행하였다. GS 투여는 KiSS-1 유전자 발현의 상위조절자인 mTOR(1:0.361±0.058 AU, p<0.001)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GnRH 분비의 상위조절자인 GAD67(1:1.285±0.099 AU, p<0.05)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GS 투여는 KiSS-1(1:1.458±0.078 AU, p<0.001) mRNA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지만, kisspeptin 수용체인 GPR-54 (1:1.29±0.08 AU) mRNA 수준은 변화가 없었고, GnRH(1:0.379±0.196 AU, p<0.05)의 경우는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GS 투여군에서 ERα(1:1.180±0.390 AU) 발현은 대조군 대비 차이가 없었지만, ERβ(1:4.209±0.796 AU, p<0.01) 발현은 유의하게 증가했다. 본 연구결과는 사춘기 전 암컷 흰쥐에서 GS의 단기 노출이 시상하부의 GnRH 조절시스템을 직접 변화시킴을 보여준 것으로, 이러한 GS의 시상하부 특이적 효과에 ERβ 경로가 관여함을 강력히 시사한다. 이는 잘 알려진 ERβ 경로를 매개로 하는 GS의 유방암 억제 효과와 일치한다.

    영어초록

    Some phytoestrogens in soy and red wine, for example, might have beneficiary rather than adverse effects. In particular, dietary soy intake seems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protection of breast cancer, osteoporosis and cardiovascular disorders. However, questions persist on the potential adverse effects of the main soy constituent genistein (GS) on female reproductive physiology. Previously we found that prepubertal exposure to GS could activate the reproductive system of immature female rats leading to precocious puberty onset, and intracerebroventricularly (ICV) injected GS could directly activate hypothalamic kisspeptin-GnRH neuronal circuits in adult female rat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hypothalamus-specific GS effects in prepubertal female rats and which subtype of estrogen receptor is mediated in this GS effect. Prepubertal female rats (PND 30) were anaesthetized, treated with single dose of GS (3.4 ㎍/animal), and sacrificed at 2 hrs post-injection. To determine the transcriptional changes of reproductive hormone-related genes in hypothalamus, total RNAs were extracted and applied to the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ICV infusion of GS significantly lowered the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mTOR (1:0.361±0.058 AU, p<0.001) but increased that of GAD67 (1:1.285±0.099 AU, p<0.05), which are known to act as an upstream modulator of kisspeptin and GnRH neuronal activities in the hypothalamus, respectively. GS administration enhanced significantly the mRNA levels of KiSS-1(1:1.458±0.078 AU, p<0.001), and exerted no effect on the mRNA level of kisspeptin receptor GPR-54 (1:1.29±0.08 AU). GnRH gene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S-treated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1:0.379±0.196 AU,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RNA level of ERα in the GS-treated group compare to control group (1:1.180±0.390 AU, Fig. 3A). However, icv infusion of G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ERβ(1:4.209±0.796 AU, p<0.01, Fig. 3B). Taken together,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the acute exposure to GS could directly alter the hypothalamic GnRH modulating system in prepubertal female rats. Our study strongly suggested the involvement of ERβ pathway in GS's hypothalamus-specific action, and this idea is consistent with the GS's well-known ERβ-mediated protective action in breast canc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발생과 생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