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실천한 중학교 시낭송 교육 (Middle School Poem Recitation Education from Cultural Education Standpoint)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2.11
43P 미리보기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실천한 중학교 시낭송 교육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6권 / 2호 / 185 ~ 227페이지
    · 저자명 : 박안수

    초록

    이 글은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실천한 중학교 시낭송 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문화교육이란 독자를 ‘수동적인 소비자’가 아니라 ‘생산자로서의 소비자[생비자(生費者), (prosumer)]’로 그 위상을 재정립하여 바라보자는 입장이며, 텍스트의 관점에서도 순수 서정시나 모더니즘 계열의 시보다는 민중이나 대중에게 쉽게 향유되는 시들도 교육과 연구의 대상으로 삼자는 입장이다. 또한 이러한 ‘시의 생산, 분배, 소비’의 측면을 중요한 ‘실천으로서의 문화, 문학’ 현상으로 인정하자는 입장을 말한다. 이와 같은 문화교육의 관점은 ‘민족지학의 관점’의 연구와 깊은 관련이 있다. 이 관점은 20세기 산업사회가 발달하면서 생긴 산물들인 드라마와 영화, 사진 등의 장르에 관심을 갖는 연구이다. 또한 계급적, 사회적 관점으로는 노동자나 여성, 이민자와 같은 영국 민중들이 향유하는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이러한 문화 텍스트를 분석하고, 이를 소비하는 시청자나 독자들에게 관심을 가지는 연구 방식이다. 이들 모두를 ‘확장된 문화’라는 개념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연구는 1장에서는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시낭송 교육의 현실에 관해 문제 제기를 하였고, 2장에서는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본 작가‧텍스트‧독자를 살펴보고, 3장에서는 문화교육적 관점을 잘 반영할 수 있는, ‘반응활동의 객관화를 위한 의사소통 모형’을 중심으로 시낭송 교육 방안 설계와 시낭송 교육의 실제를 보였고, 4장에서는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실천한 시낭송 교육의 의의와 한계, 제언을 정리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 낭송자와 청중들은 시 텍스트를 활용한 낭송의 개념과 범주를 폭넓게 허용함을 알게 된다. 둘째, 다양한 시낭송 방식의 체험은 반응비평 중심의 시 감상 교육을 적절하게 수행하는 학습 과정임을 알게 된다. 셋째, 학생들은 시를 주체적으로 감상하고 즐기며, 적절하게 반응하고 소통할 있는 능력을 경험한다.
    위와 같은 시낭송 교육은 부정적 영향과 한계에도 유의해야 한다. 감상의 과정에서 주객전도의 딜레마가 작용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즐길 수 있는 재미를 빼앗아 버릴 수 있고, 부정확한 선입견을 가지고 많은 보조 자료를 동원하여 배경 음향과 화면으로 채우는 것에 골몰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deals with poem recitation education in middle school conducted from the cultural education standpoint. In cultural education, the status of reader is upgraded to be viewed as 'producer and consumer (prosumer)' instead of just a 'passive consumer'. Such perspective of cultural education has a lot to do with 'ethnographic perspective' research. This perspective stemmed from paying attention to genre such as dramas, movies, and photos ― products of the developed industrial society in the 20th century. The research analyzes such cultural texts and pays attention to the consumers, the viewers or readers, who are all accepted in the concept of 'extended culture'.
    This research raised issues associated with poem recitation education from the cultural education standpoint in the chapter 1. In Chapter 2, writers and texts are examined from the 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 In Chapter 3, planning of poem recitation education and its reality was revealed based on the communication model for objectification of reaction activities, reflecting the perspectives of cultural education. In Chapter 4,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n poem recitation education from the cultural education standpoint were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the poem reciters and audience will be introduced to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poetry recitation. Secondly, they will learn that reactive criticism is the foundation for poetry appreciation and so fuels a variety of poetry recitation experiences. Thusly, through the mentioned learning points, students will be able to independently communication abilities as well as an appreciation for poetry.
    Such poem recitation education had to be mindful of negative effects and limitations as well. In the process of appreciation, it might produce side effects of taking away the freedom and enjoyment of students, contrary to its goal. Second, the education might negatively focus on the background music and images with lots of supplementary materials and inaccurate approa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말교육현장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