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표 교육 중 ‘동료 평가’ 활용을 위한 전제 (A study on the considerations of using peer feedback  in speech education)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7.12
31P 미리보기
발표 교육 중 ‘동료 평가’ 활용을 위한 전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집 / 72권 / 411 ~ 441페이지
    · 저자명 : 오현진

    초록

    본고는 초·중등 교육뿐만 아니라 대학 화법 교육 내에서도 효과적인 평가 방 법이자 교육방법으로 자주 활용되고 있는 ‘동료 피드백’을 대상으로, 그것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발표 교육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기존 연구들 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학 발표 수업이라는 상황을 고려하여 동료 평가 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되기 위해 해결되어야 할 점들을 정리해 보았다. 이를 통해 채점과 배점을 중심에 두는 평가와 자신의 의사소통 과정을 점검하는 과 정에서 동료 학생들과의 협력 학습이 이루어지는 피드백을 구분해야 하며, 발 표 중 동료 피드백 과정에서는 구어 의사소통 상황이라는 점을 적극적으로 고 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대학생이라는 학습자의 요건이나 강의실 환 경을 고려하여 제공되는 피드백의 종류, 시기, 방법 등이 고민되어야 할 것이 다. 대학생에게 요구되는 발표 수준이나 학습자들의 요구나 필요를 고려한 평 가 기준이나 루브릭을 찾기 위한 연구와 함께 동료 피드백 결과를 어떻게 수용, 활용하여 자신의 발표 능력을 신장시킬 것인지 고찰하는 시간의 확보 및 구체 적인 교육 방안 역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실제 대학 발표 수업에서 동료 평가가 어떤 절차와 방법으로 활용 되고 있는지 살피고자 기존 연구를 검토하였으나 분석 대상의 양이 많지 않으 며, 대학 발표 수업을 대표한다고 보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제한점을 갖는다. 다 만 연구자들이 실제 발표 교육 상황에서 수행한 방법이며 이들의 연구 결과에 서 학습자들의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연구 대상으로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 해결하지 못한 대학생들이 동료 평가에 어떻게 참 여하고 있는지, 그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등 동료 평가의 구체적 인 양상과 도출되는 문제점과 해결 방안 제시 및 검증은 후속 연구에서 수행하 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based on previous studies, how “peer feedback,” which is frequently used as an effective method of evaluation as part of university communication curricula as well as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s, is being utilized in presentation evaluations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paper also summarizes a number of issues that need to be resolved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use peer evalu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circumstances and condition of university presentation classes; it is found that differentiated feedback generated during collaborative learning among peers in the process of the evaluation is necessary, with a focus on grading, scoring, and examining their own communication process. Active consideration needs to be taken of the oral communication circumstances in the process of peer feedback during presentations. In addition, the type, timing, and method of feedback should be kept in mind, considering learners’ requirements and the classroom environment, among other factors. It is also imperative to allocate time to reflect on how to accept and utilize the results of peer feedback in a way that promotes students’ presentation skills, and to develop specific educational plans and methods, while considering studies on evaluation criteria or rubrics, to bring the students up to the level of presentation required by university students. Their need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examines previous studies to determine which procedures and methods of peer feedback have been used in university presentation classes. There are not many findings and results available to analyze, and those that exist are not likely to represent university presentation classes.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se studies are valuable to consider, as they were cover presentations in educational circumstances and their findings confirmed students’ satisfaction. Further studies should cover specific aspects of peer evaluations and present viable solutions to a number of the issues identified by this study, including college students’ patterns of participation in peer evaluation and methods of managing difficulties and challenges students face during the process of peer evalu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