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복중 시가문학의 담론 양상 (The Discoursive Aspect in the Poetry of Kangbokjo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7.09
26P 미리보기
강복중 시가문학의 담론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74호 / 317 ~ 342페이지
    · 저자명 : 육민수

    초록

    강복중(1563∼1639)은 17세기를 전후로 한 격동의 조선 사회에서 향촌 사대부로서의 삶을 살다간 인물이다. 65수의 많은 시조 작품과 2편의 가사 작품을 남기고 있어 17세기 시가 문학을 이해하는 데 꼭 짚고 넘어가야 할 작가이다. 이 연구에서는 그의 문학 작품의 세 가지 특성을 고찰하였다. 첫째, 17세기『주자가례』의 도입에 따라 부계 조상 중심의 친족 개념 및 그에 따른 同氣意識 이 새롭게 형성되었는데 강복중은 이러한 새로운 사회적 분위기 하에서 효행으로 芳名을 남긴 고조 강응정을 정신적 지주로 삼아 두 가지 방향에서 同氣意識 의 실천에 힘썼다. 이념적 방향은 강응정의 효 정신과 실천력을 따라서 자기 스스로도 至孝의 삶을 사는 것이었으며, 현실적 방향은 강응정의 분산을 수호⋅회복하고 가문의 현실적 힘을 확대하는 것이었다. 둘째, 강복중의 강호시가 작품은 <수월정청흥가>로 종합되어 있는데 이 작품에서 강호자연은 그의 실존적 삶의 동반자이며 조력자로서 제시된다. 갈마산, 율령천을 선조의 유촉이 담긴 효자산천으로 이해했다고 하는데 이것이 그의 독특한 자연인식의 밑거름이 된 것이다. 따라서 강복중에게 강호자연 遊賞은 선현의 효행을 본받고 同氣意識을 실현하는 행동의 일환이었다. 셋째, 강복중 작품의 非整齊性과 非洗練性의 이유를<위군위친통곡가>를 대상으로 삼아 가사 장르의 진술 특성과 연관지어 해석하였다. 가사는 1인칭 인격적 서술자에 의해 진술되는데, 분산 쟁송에 얽힌 삶을 진술하는 과정에서 이 인격적 서술자가 작품 전체를 객관적으로 統御하지 못한 채과도하게 몰입하게 됨으로써 작품의 非整齊性, 非洗練性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영어초록

    Kangbokjoong(1563∼1639) was a person who lived as a local gentry man of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turbulent era around the 17th century. He created 65 works of Sijo and 2 works of Gasa and is a writer who must be clear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literature of 17th century poetry. I examined his literary works from three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First, in the 17th century, the adoption of Joojagarye led to the creation of a new concept of kinship based on the paternal line and same family consciousness[同氣意識]. Kangbokjoong tried to practice the same family consciousness in two directions. The ideological direction was to live a life of extreme filial affection according to the filial duty spirit of Kangeungjeong and his practical power. The realistic direction was to expand the power of the family according to protect and restore the dispersed property of Kangeungjeong. Second, Kangbogjoong’s poetry of the idealistic nature is synthesized as <Soowoljeongcheongheung-ga>, where the nature is presented as a companion and assistant of his existential life. It is said that he understood the Galma-san and Yulryeong-chun as the filial son’s mountain and river which contain the entrustment of the ancestors, which became the basis of his unique natural perception. Therefore, the remained reward of the idealistic nature was a part of behaviors to realize the same family consciousness and emulate the filial behavior of ancient sages to Kangbokjoong. Third, the reason of non-refinement and non-sophistication of Kangbokjoong’s works was analyzed in relation to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Gasa genre through <Wigunwichintonggok-ga>.
    The Gasa is described by the first-person personal narrator.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life involved in the diversification dispute about the dispersed property, the personal narrator immersed in the situation deeply without being able to control the whole work. It brings the problems of non-refinement and non-sophistication to the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