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5년 북한사회의 베트남 방문과 베트남이라는 심상지리의 탈식민적 구성 -「영웅의 나라, 월남」과 『월남방문시초 한줌의 흙』을 중심으로- (In 1955, North Korean Society's Visit to Vietnam and Decolonization took a mental Geography of Vietnam - A study on the Hero's country, Vietnam [영웅의 나라, 월남] and the Poems visiting to Vietnam, A Handfu)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8.06
25P 미리보기
1955년 북한사회의 베트남 방문과 베트남이라는 심상지리의 탈식민적 구성 -「영웅의 나라, 월남」과 『월남방문시초 한줌의 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겨레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겨레어문학 / 60호 / 97 ~ 121페이지
    · 저자명 : 유임하

    초록

    이 글은 1955년 북베트남 방문과 문화교류의 결과물인 변희근의 기행문 「영웅의 나라, 월남」과 조학래의 시집 『한 줌의 흙』이라는 텍스트를 검토하고 있다. 이들 저작은 북베트남을 방문하여 창작한 우호친선의 결과물로서 탈식민 직후 베트남의 고양된 사회 분위기를 잘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기행문과 시집에 담긴 베트남 인식의 특성과 의의에 주목했다. 두 텍스트는 1955년 외교관계를 공식화하고 건국 10주년을 맞이한 것을 계기로 북한-북베트남이 우호친선의 대의를 부각시키며 문화적 교류의 물꼬를 트는 가운데 베트남 현실 인식에 따른 구체적인 윤곽을 살필 수 있었다.
    1950년대 북한은 중소를 포함하여 동유럽과 몽고와 문화교류에 나서면서도 베트남과는 매우 각별한 외교 관계를 유지해 나갔다.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쟁취했으나 외세에 의해 다시 남북으로 나뉜 베트남의 현실은 북한에게 동서 냉전구도와 열전의 전선이자 비동맹외교의 바로미터였다. ‘조국통일’의 군사적 결행을 관철시키지 못한 채 휴전체제로 돌입하게 된 북한의 현실에서 베트남의 과거-현재-미래는 식민의 기억을 환기하며 현재의 냉전체제를 통찰하며 미래의 통일과업을 진단할 수 있는 또 다른 원천이었다. 1965년 반둥회의로 대표되는 북한의 비동맹외교 활동이 동남아시아와 중동, 아프리카 권역에 걸쳐 있으나 그 시발점은 국교 수립에 따른 1955년 베트남과의 교류였다.
    북베트남을 방문한 인민대표단과 인민군예술단의 문화교류는 앞서 살펴본 것처럼 양국이 각각 경험해온 식민과 탈식민의 상황의 유사성에 근거한 현실에서 역사적 경험의 공감과 공분을 거쳐 역사적 경험의 공유로 진전되는 것을 뜻했다. 변희근의 기행문에서 베트남을 ‘영웅의 나라’로 칭송하고 방문시초에서 ‘형제국가’임을 천명하는 것이 바로 구체적인 증거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viewed the context in the travel essay titled 'Hero's country, Vietnam' which is written by Heeguen Byeon(변희근) and Hakrae Cho(조학래)’s the poetry book called 'Poems visiting to Vietnam, a handful of earth'. Those two books are the result of cultural exchange and North Vietnam visit in 1955. Also they are the result of friendship and created by visiting North Vietnam, thus it described well the heightened atmosphere of Vietnam society immediately after decolonizing. This study concentrated on the characteristic awareness and significance of Vietnam in these two books. Two books showed that Vietnam initiated cultural exchange with highlighted cause of friendship between North Korea and North Vietnam by giving an opportunity of 10th anniversary of the country and officially announced diplomatic relations in 1955. Therefore, the detailed outline by awareness of reality in Vietnam could be reviewed.
    North Korea in 1950's maintained special relationship with Vietnam as well as kept cultural exchange with Eastern Europe, Mongolia, China and Russia. Although Vietnam achieved the independence from France, they were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by foreign power. So their reality was the Cold War between East and West, Hot-War front and also it was barometer of nonalignment diplomacy for North Korea. North Korea had to do cease-fire agreement by not accomplishing reunification with military action. Therefor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Vietnam reminded memory of colonial period, gave an insight of the Cold War and provided the source which could examine the reunification task in the future for North Korea. Bandung Conference in 1965 which represented as nonalignment diplomacy were for all over Southeast Asia, the Middle East and Africa but the beginning was the exchange with Vietnam. In that context, the cultural exchange act by diplomatic relations with North Vietnam in 1955 was one of exchange with nonaligned nations.
    Visiting to North Vietnam and the cultural exchange of art company of North Korea meant that it was possible to be in condition to share the historical experience through sympathy and indignation by seeing that there were similar situation like colony and decolonizing as we have discussed earlier. This was proved in Heeguen Byeon's travel essay that complimented Vietnam is 'Hero's country' and 'Brother country' at the beginning of vis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