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심행일기(瀋行日記)』(1635)를 통해 본 이준(李浚)의 심양사행과 정보 수집 (The dispatch and information gathering of envoy Lee Jun through the analysis of 『Diplomatic Report on Shenyang』(1635))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24.07
35P 미리보기
심행일기(瀋行日記)』(1635)를 통해 본 이준(李浚)의 심양사행과 정보 수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전북사학 / 71호 / 101 ~ 135페이지
    · 저자명 : 김창수

    초록

    본 연구는 인조 13년(1635) 후금에 사신으로 파견된 이준(李浚)의 『심행일기』를 통해 당시 사행의 특징과 주요 대외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앞뒤 시기의 심양 사행록을 함께 검토하여, 사신선발, 사행여정, 수집정보를 분석하였다.
    첫째, 대(對)후금 사신은 대부분 무관을 선발했고, 후금을 경험했거나 평안·함경·황해도에서 근무한 이력이 있는 관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러한 관행에 비추어 이준은 심양에 파견된 적은 없었지만, 무관으로서 서북 지역에서 여러 차례 수령직을 역임했기 때문에 사신으로 선발되었다.
    둘째, 1630년대 이전에는 요양 근방의 신성(新城: 東京)이 중간기지 역할을 했지만, 1630년대 이후부터는 신성보다 남쪽에 위치한 통원보(通遠堡)에서 호위가 시작되었다. 이는 후금의 관할 범위가 점차 남쪽으로 확장되었다는 것을 보여 준다.
    셋째, 후금에서는 조선 사신이 심양으로 이동할 때, 심양에 거주하는 동안 통제했다. 이는 조선 사신들이 여진인 및 피로인들과 접촉하여 후금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을 차단하려는 목적이었다. 다만 이준의 경우는 앞뒤의 사행보다는 통제가 완화된 모습이 나타난다.
    넷째, 이준의 주요 관심사는 후금-명의 전쟁 상황이었다. 특히 인조 12년(1634) 5월에 단행된 후금의 중국 내륙 공략의 결과, 인조 12년 겨울 및 인조 13년 2월의 출정 이유 및 결과에 주목했다. 정보 수집 결과 인조 12년 후금은 중국을 공격했지만 상당한 손실을 받은 것으로 확인했다.
    다섯째, 이준은 심양성에 오를 기회를 이용해 후금의 국력을 확인하였다. 심양성 내외의 가호수는 1만여 호이지만 인구는 호수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관찰했다. 아울러 수성용 화약무기의 종류와 수량을 구체적으로 파악했다.
    이준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 후금의 상황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최대한 수집했다. 그 결과 후금은 인조 12년 선부·대동 전투에서의 패전, 동해여진 공략을 위한 출정 등으로 심양의 병력이 적은 상황이며, 사신에 대한 우호적 태도 등을 감안할 때 조선과의 전쟁 의지를 확인하지 못했다. 이상의 연구는 조선-후금 관계를 병자호란의 전사(前史)로만 판단하는 시각에서 벗어나 병자호란 이전 조선-후금의 갈등이 상대적으로 줄어든 시기의 상황과 인식을 잘 보여 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atching process and information about the Later Jin through the 『Diplomatic Report on Shenyang』 of Lee Jun, who was dispatched as an envoy to the Later Jin in 1635. Diplomatic reports on Shenyang from different periods were reviewed together to analyze the selection of diplomats, their travel to Shenyang, and the information they collected.
    First, the envoys sent to Later Jin were mostly military officers or officials with a history of service in the North (Pyeongan, Hamgyong, and Hwanghwang provinces). Lee Jun, a military officer, had never been sent to Shenyang as a envoy, but was selected as an envoy because he had served as a district magistrate in the North several times.
    Second, before the 1630s, Xinxing(新城/東京), near Yuyuan, served as an intermediate base for diplomatic travel, but after the 1630s, escorts began at Tongyuanbo, located further south than Xinxing. This shows that the Later Jin's jurisdiction gradually expanded southward.
    Third, the Later Jin controlled Joseon envoys as they traveled to Shenyang and while they were in Shenyang. This was to prevent Joseon envoys from contacting Jurchen people and captives to learn about Later Jin situation. However, Lee Jun's case was less restrictive than previous Joseon envoys.
    Fourth, Lee's main concern was the state of the Later Jin-Ming war. After gathering information, he determined that in 1634, the Later Jin attacked China but suffered significant losses.
    Fifth, Lee used the opportunity to ascend to Shenyang's castle to confirm Later Jin's national power. Shenyang's castle had more than 10,000 households, but the population was small compared to the number of households. He also learned more about the types and quantities of gunpowder weapons for defense.
    The above studies illustrate the circumstances and perceptions of a period of relatively reduced Joseon-Later Jin conflict prior to the Byeongja Horan(1637).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