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혁명군 국내유격대장 徐元俊 - 노동자에서 독립군으로 - (Seo Won-Jun, Joseon Revolutionary Army Task Force Commander - From Worker to Independence Army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7.06
34P 미리보기
조선혁명군 국내유격대장 徐元俊 - 노동자에서 독립군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91호 / 135 ~ 168페이지
    · 저자명 : 김빛나

    초록

    서원준은 1933년 조선혁명군 국내유격대장으로 국내에 파견되어 군자금을 모집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노동자 출신으로 평양점원상조회, 평양노동청년회에서 활동하였고 평양노동연맹원사건으로 투옥되기도 하였다. 출옥 후 만주로 망명하여 조선혁명군에 가입하여 독립운동을을 전개한 인물이다.
    그는 1908년 5월 25일 평안남도 중화군 출신이다. 아버지는 목수출신이었으며 노동자 집안으로 가난하였다. 때문에 서원준은 보통학교에서 조차 교육받지 못하였다. 그가 13세인 1920년에 평양에 정착하여 상점에서 점원으로 일하기도 하였고, 양말직공으로 일하며 가난한 가세를 도왔다. 보통학교조차 교육받지 못하였지만 평양에 정착한 후 3년간 야학에서 수학하였다.
    서원준은 1924년 평양점원상조회에 가입하였고, 17세부터 평양점원상조회 간사로 일하였다. 평양점원상조회에서 간사로 일해온 서원준은 노동운동가였던 한해, 한종유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서원준은 1927년 2월 평양노동연맹원사건으로 체포되었다. 평양노동청년회는 박철, 한종유 등과 함께 사유제산재도를 부인할 목적으로 조직되었다. 서원준은 이 사건으로 인하여 체포되어 8개월을 복역하고 1928년 9월 출옥하였다.
    서원준은 출옥 후 1930년 4월 만주로 망명한다. 만주로 망명하게 된 것은 옥중에서 만난 김관우의 영향으로 짐작된다. 1930년 10월에 조선혁명군 군사부 부사령이었던 양세봉의 권유로 동 당에 가입하였다. 조선혁명당에서 2년 반 동안 피복제조창, 자치부, 지방정세조사부에서 활동하였다.
    서원준은 1932년 11월 고이허로부터 국내에 잠입하여 당의 활동자금과 연락기관을 설치하라는 지령을 받았다. 그리고 자동권총과 탄환을 받아 1932년 12월 왕청문에서 안동현으로 이동하였다. 1933년 1월 15일 평안북도 용천군 남시역의 장날에 포목상점원으로부터 현금 1,600여원을 빼앗아 군자금으로 송금하였다.
    이후 서원준은 평양에서 군자금 모금을 계획한다. 평양 내에서 현금 수송액이 가장 큰 식산은행 평양지점을 목표로 하였다. 1933년 6월 3일 계획을 실행하려고 하였으나 실패하였고, 수상함을 감지한 일제 경관은 서원준이 은거해있던 가옥을 수색하였다. 서원준은 권총을 발사하며 수사를 피해 도주하였다. 도주 중 6월 10일에는 일제 경관을 저격하여 처단하기도 하였다. 일제 순사부장의 사망으로 인하여 일제는 더욱 삼엄한 수사망을 펼쳤다. 서원준은 6월 3일 오후 10시부터 일제의 감시망을 피하여 도주하고 6월 16일 오후 11시에 체포된다. 이러한 활동으로 인하여 서원준은 사형판결을 받았으며 1935년 4월 30일, 28세의 나이로 평양형무소에서 순국하였다.
    일제 경관을 처단하며 벌였던 평양 군자금 모금 활동은 ‘평양권총사건’ 혹은 ‘평남권총사건’으로 불리며 서원준은 ‘권총청년’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이 활동은 당시 『동아일보』, 『조선일보』, 『매일신보』 등에 대서특필되었다. 또한 『동아일보』는 1933년 6월 17일 호외를 발행하여 그의 활동에 대하여 단독보도하기도 하였다. 또한 총독부 기관지였던 『매일신보』 또한 서원준의 사진을 포함하여 12건의 기사를 실어 대대적인 보도하였다. 서원준의 활동은 1933년 국내 항일독립운동 활동 중 대표적인 군자금 모금활동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그의 행보는 노동자에서 독립운동가로 변모한 인문의 유형이라는 것에서 연구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영어초록

    Pyongyang Military Chest Fund Raising, which was conducted by punishing Japanese policemen was called as ‘Pyongyang Pistol Event’ or ‘Pyongnam Pistol Event.’ Seo Won-Jun was also called as ‘pistol man.’ This activity hit the headlines in then-Dong-A Daily News, Chosun Ilbo, and Maeil Shinbo. Dong-A Daily News published an extra on Jun. 17, 1933 and made an exclusive report on his activity. Maeil Shinbo,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s news organ also made major headlines by publishing twelve articles including the photos of Seo Won-Jun. Seo Won-Jun’s activity can be seen as the representative military chest fund-raising activity among the domestic anti-Japan independence movements in Korea in 1933. His move can also be seen as worthy of careful study in that he is a type of person who transformed from worker to independence activi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