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초기 儀禮 제정과 犧尊·象尊의 역사적 의미 (The Ritual enactment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historical meaning of the Huijun․Sangjun)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2.03
31P 미리보기
조선초기 儀禮 제정과 犧尊·象尊의 역사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60호 / 5 ~ 35페이지
    · 저자명 : 박수정

    초록

    이 논문은 조선초기 국가 의례서인 『세종실록』 「오례·길례서례」와 『국조오례의서례』 「길례」에 보이는 ‘제기도설’의 비교, 검토를 통해 의례 제정의 변화양상을 고찰하였다. 지금까지 역사학에서 간과해온 제기를 통해 조선초기 의례 제정의 양상과 특징을 밝혀본 것이다. 조선초기 길례 제정의 변화과정과 원인에 따라 제기도설의 희준과 상준의 두 가지 형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세종실록』 「오례」에서는 ‘깊은바리모양’을, 『국조오례의서례』에서는 ‘짐승모양’이라는 각기 다른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 형태를 중국의 예서와 비교해보면 깊은바리모양은 ‘당․송제’, 짐승모양은 ‘명나라 예제’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모양에는 ‘정현’의 설, ‘왕숙’의 이론이 반영되어 있다. 이렇게 정현과 왕숙의 설로 대표되는 제기도설의 변화양상을 크게 사상적 경향성과 정치적 배경 안에서 살펴보았다.
    사상적 경향성에 대해서는 정현과 왕숙의 문묘종사의 추이를 통해 성리학자들의 인식을 가늠해보았다. 이 문묘종사에서는 조선초기에 정현과 왕숙의 이론이 모두 통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제기도설의 변화를 파악해 보았다. 그것은 곧 주자성리학의 수용과정에서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주자가 왕숙의 이론을 선택하였기 때문에 그것이 『국조오례의』에 반영되었던 것이다. 결국, 『세종실록』 「오례」에서 『국조오례의』로 정비되면서 주자성리학의 이해가 진전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치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것은 “주자가 왜 왕숙의 설을 따랐을까?”라는 의문에 대한 해결 방안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모색은 의례의 정치적 활용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찬탈과 무력으로 왕위를 계승한 당고조와 당태종은 정현의 설을 부정하는 왕숙의 설로써 정당성을 갖고자 하였다. 이러한 의례 제정의 활용이 조선에서도 재현되었다고 한다면 국가의례란 분명 왕의 권위를 높여주는 정치적 도구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eks to provide a comparative understanding of the aspects of changes that were evident in the ritual enactments of the Jegi doseol(Explanatory Diagrams of Ritual vessels) appearing in such texts on national rituals of the Early Joseon as the Orye of the Sejong sillok Gillye Seorye and Gukjooryeui seorye Gillye. An anlysis of the causes as well as changes that appeared in the enactments of the Royal Ancestral rites revals that the two forms of Huijin and Sangjun. They revealed different shapes from each other with the Orye of the Sejong sillok describing deep-bowl shapes whereas the Gukjooryeui seorye illustrate animal shapes. By comparing the two forms with the ritual books of China,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 deep-bowl shapes were influenced by the rituals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whereas animals shapes by the rituals of the Ming dynasty.
    The deep-bowl shaped Huijun and Sangjun, painted with cattle and elephants patterns, is based on the theory of Zheng Xuan while the animal shaped Huijun and Sangjun, with entire bowls sculpted in the exact images of cattle and elephants, is based on the theory of Wang Su. Thus, the aspects of change of the Jegi doseol were examin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ideological tendencies and the political background.
    With regard to the ideological trend, an attempt was made to determine the perceptions of neo-Confucian scholars,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doctrines on memorial services formulated by such scholars as Zhen Xuan and Wang Su. The theories of both the scholars, Zhen Xuan and Wang Su were accepted in the Confucian shrine memorial services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Based on these perceptions, an attempt was made to recognize the changes in the Jegi doseol. Since Zhu Xi selected the theory of Wang Su, his (Wang Su's) ideas were reflected in the Gukjooryeui.
    Next, the political background was examined. The political background offers a solution to the question of why Zhu Xi adhered to the theory of Wang Su. The knowledge of the fact that the rituals were used politically was carried over and applied to the Joseon Dynasty in this study.
    Taizong and Gaozu of Tang China who ascended to the thronion of powere through the brazen use of force, sought to legitimize his usurpation, and it is remarkable that he rejected the theory of Zhen Xuan and favourd the ideas of Wang Su.


    Translated under the supervision of Professor Pankaj Narendra Moh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