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통어업 기술의 진화와 전파의 인문지형 - 어전·방렴·죽방렴의 기술사적 전개 - (The Humanistic Topography of Traditional Fishing Technology: A Technological History of Eojeon, Bangnyeom, and Jukbangnyeom)

6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25.05
66P 미리보기
전통어업 기술의 진화와 전파의 인문지형 - 어전·방렴·죽방렴의 기술사적 전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사와 지방문화 / 28권 / 1호 / 5 ~ 70페이지
    · 저자명 : 송기태

    초록

    전통시대 정치어업을 대표하는 어전과 방렴, 그리고 죽방렴의 관계는 오랜 기간 모호함의 영역에서 추론에 의지해 왔다. 본고에서는 어업기술사라는 관점에서 각각의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했다.
    먼저 조선 전기까지 정치어업은 서해안의 어전이 중심이었음을 파악하고, 18세기부터 영남 지역에 방렴이 등장하여 곧바로 함경도까지 확산하는 과정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서해안을 중심으로 조석간만의 물살을 막는 ‘어전’과 영남을 중심으로 조석간만이 약한 곳에서 어로(魚路)를 차단하는 ‘방렴’이 해역 단위의 기술문화권을 형성하게 됨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근대 시기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하는 『관보』를 통해 어전과 방렴의 실제를 파악하였다. 어전은 전통시대의 영향력을 그대로 유지하여 서해안과 호남 일대에서 주된 정치어구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었고, 방렴은 영남을 넘어서서 동해안과 서해안까지 영역을 확장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어구어법의 차이를 명료하게 파악하고 기술적 다양성을 확인함으로써 조선시대 그림과 지도에 등장하는 정치어구들을 구체적인 해석의 영역으로 끌어들일 수 있게 되었다.
    끝으로 근대 시기 방렴의 소멸과 죽방렴의 등장이 지닌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1920년대를 전후로 방렴으로 면허를 등록했던 어업이 망방렴과 승망, 호망, 각망, 소대망 등의 그물망 어업으로 전환되는데, 이 시기에 특정 해역을 중심으로 죽방렴이 새롭게 면허를 취득하는 상반되는 상황이 전개된다. 죽방렴의 성립은 ‘멸치의 상품성 부각과 해협의 물살을 막는 기술의 개발’에 의한 것으로 논의된 바 있다. 본고에서는 전형적인 어전의 기술을 사용하면서 ‘죽방렴’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점을 주목하여 ‘발(簾) 문화권’의 언어문화적 인문지형과 관련되어 있음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e relationship among eojeon(漁箭), bangnyeom(防簾), and jukbangnyeom (竹防簾)—the representative types of stationary fishing in traditional Korea—has long remained ambiguous, largely relying on conjecture. This study seeks to clarify the distinct identities of these fishing method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fishing technology.
    It first identifies that eojeon was the dominant form of stationary fishing along Korea’s western coast until the early Joseon period. From the 18th century onward, bangnyeom appeared in the Yeongnam region and quickly spread as far as Hamgyeong Province. This reveals the formation of distinct maritime technological-cultural zones: eojeon, designed to block strong tidal currents in the West Sea, and bangnyeom, used to intercept fish routes in regions with gentler tides, particularly around Yeongnam.
    The study then examines records from the Gwanbo (Official Gazette) published by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o investigate the actual use of eojeon and bangnyeom in the modern period. Eojeon retained its traditional dominance in the West Sea and the Honam region, while bangnyeom expanded beyond Yeongnam to both the East and West coasts. By clearly distinguishing between different fishing structures and confirming their technical diversity, this study enables more concrete interpretation of the stationary fishing devices depicted in Joseon-era paintings and maps.
    Finally, the paper explores the disappearance of bangnyeom and the emergence of jukbangnyeom in the modern period. Around the 1920s, many fisheries licensed under bangnyeom transitioned to net-based fishing methods such as mangbangnyeom, seungmang, homang, gakmang, and sodaemang. In contrast, jukbangnyeom began receiving new licenses in specific coastal areas. The development of jukbangnyeom is understood to be associated with the rising commercial value of anchovies and the advancement of techniques capable of controlling strong tidal currents in narrow straits. Although it employs typical eojeon technology, the continued use of the name jukbangnyeom suggests that the linguistic-cultural background of the bal(簾) culture zone played a significant role—reflecting the humanistic topography embedded in Korea’s traditional fishing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