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자타의 우유죽 공양 서사 ― 가우타마 붓다의 전기를 중심으로 ― (The Narrative of Sujātā’s Offering of Milk-rice Porridge : Based on the Biographical Literature of Gautama Buddh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25.05
26P 미리보기
수자타의 우유죽 공양 서사 ― 가우타마 붓다의 전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문화연구 / 42호 / 231 ~ 256페이지
    · 저자명 : 김미숙

    초록

    싯다르타 가우타마는 출가하여 정각을 얻어서 붓다가 되기까지 6년의 고행기를 거쳤다. 슈라마나로서 단식 고행을 했던 싯다르타가 우유죽 공양을 받아먹고 난 뒤에 기력을 회복하고, 보리수 아래 금강좌에서 정각을 성취하기까지는, 단 하루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그 하루 동안 벌어졌다고 전하는 일들, 예컨대 단식 고행의 중단, 우유죽 공양, 함께 수행하던 동료들의 비난과 결별, 금강좌로 이동, 마라(māra, 魔羅)의 공격과 조복, 정각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서사들이 다양하게 교직(交織)되어 있다. 그런데 정각으로 가는 첫 단계, 그 서막이라 할 만한 우유죽 공양 서사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상세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유죽 공양 서사의 주체와 공양 음식에 초점을 두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특히 싯다르타에게 우유죽을 공양한 주체의 이름에 대해서 여러 갈래의 전승 문헌에서 다양하게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문헌과 유적을 비교 고찰한 결과, 수자타라고 통칭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았다. 또 수자타가 싯다르타에게 바친 우유죽은 16전(轉) 방식으로 얻은 우유를 재료로 특별히 제조한 조유죽이었다는 점을 논하였다.
    그리고 수자타의 우유죽 공양은 자이나교에서 제1대 티르탕카라 리샤바가 400일 동안의 단식을 마치고 처음 받아먹었던 사탕수수즙 공양과 비교할 수 있다. 지금도 “아크샤야 트리티야(akṣaya tṛtīyā)” 날에는 모두 함께 사탕수수즙을 먹으면서 리샤바를 기리듯이, 우유죽은 붓다의 성도절(成道節)을 기념하는 의례 음식으로 발전시키고, 붓다의 정각처인 보드 가야를 순례할 때에는 수자타 스투파를 그 기점으로 삼을 만하다고 제안한다.

    영어초록

    Siddhārtha Gautama went through a period of six years of asceticism before he became Buddha, attaining enlightenment and becoming a Buddha. In Buddhist scriptures, the extreme weakness of Siddhārtha’s body during his six-year fasting asceticism is vividly described. This is also clearly shown in the relics of ancient ascetic statues. However, Siddhārtha decided to stop his fast and eat food. The story of the first food he ate is the narrative of Sujātā’s milk porridge offering.
    After Siddhārtha, who had been observing silence and fasting as a śramaṇa, recovered his strength and attained enlightenment on the Vajra Seat under the Bodhi Tree, it took only one day. However,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various sources, it was analyzed that numerous narratives are interwoven within it. And the focus was on the pedestal of the Buddha statue at the Mahābodhi Mahāvihāra. The iconography of Sujātā, who is sitting with a bowl full of food in her left hand and a food mudrā in her right hand toward the statue of the Buddha of Touching the Earth, was explained in detail.
    Sujātā’s offering of milk porridge can be compared to the first offering of sugarcane juice that the first Tīrthaṃkara Ṛṣabha in Jainism received after his 400 days fast. Just as Jainism still honors Ṛṣabha by eating sugarcane juice, it is believed that milk porridge should be developed into a ritual food to commemorate the day of the attainment of Buddha’s Bodhi, and the pilgrimage to Bodh Gaya should be based on the Sujātā Stūp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