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진과 죽음의 수사: 바르트 사진론 다시 읽기 (Photography and the Rhetoric of Death: Re-reading the Barthes' Theory of Photograph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1.12
34P 미리보기
사진과 죽음의 수사: 바르트 사진론 다시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미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미술학 논문집 / 15권 / 2호 / 7 ~ 40페이지
    · 저자명 : 강미정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죽음의 수사를 중심으로 사진의 정체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즉 사진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논함에 있어서 본 논문은 삶과 죽음, 흐름과 정지, 현존과 부재 같은 시간적 계기들에 주목하고 있다는 것이다. 롤랑 바르트의 사진지표론은 이러한 논의의 뼈대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그의 푼크툼 개념은 전체 논의의 핵심이 되고 있다.
    바르트의 푼크툼은 “보는 이를 찌르고 충격을 주는 사진의 세부사항”이기도 하고, “살아있는 듯 보이지만 이미 죽은 것의 귀환”이기도 하다. 이 논문에서는 후자의 시간의 혼동으로서의 푼크툼에 주목하고, 바르트의 푼크툼과 프로이트의 언캐니 개념을 결합시킨다. 어떤 사물이 죽은 것인지 아니면 살아 있는 것인지에 대한 혼동으로부터 초래되는 언캐니의 감정은 바르트가 푼크툼으로 기술한 충격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이다.
    푼크툼과 언캐니를 중심으로 사진의 시간성에 대해 고찰한 후, 본 논문에서는 프란체스카 우드먼과 방병상의 사진작품에 나타나는 사진적 시간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aradoxical way that photographs represent the time: life/death, moment/eternity, movement/stillness, present/absent and etc. In the pursuit of this purpose, it would be focused that the photography is a kind of ‘index’ according to Charles S. Peirce's definition, and that the indexical properties of photography reminds ‘the uncanny’ Freud mentioned. I mainly discuss here the theory of photography provided by Roland Barthes, since he seems one of the advocates of ‘photo-index theory.’Barthes develops more earnestly photo-index theory in his Camera Lucida(1981) among his writings of photography. When he mentions indexical features of photography he is focusing on the concept of ‘punctum.’ While he has started his writing with the punctum which was the detail of a photograph that stab or prick the viewer, he changes the concept of punctum from the detail to the time in the last half of the book. The photograph which has recorded the past, specially the dead reminded him the death - even his own future death, because it seems alive even though it is already dead.
    According to Freud, when we encounter something or somebody which is not distinguished if alive or not, we feel the uncanniness. A photograph is uncanny because the referent of it seems present and alive but it is actually absent and dead. In this respect Laura Mulvey and others connect Barthes' indexical theory of photography with ‘the uncanny’ of Freud which reminds us the fear of death.
    I consider this paradoxical sense of time appearing at the photographs originated from the indexical properties of photography. In order to prove this special feature of photography, I discuss some photographs of Francesca Woodman and Byung-Sang B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미술학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