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철우 소설 『이별하는 골짜기』에 나타난 죽음의식 (A Study on the Awareness of Death in the novel “A Parting Valley” by Chul Woo Lim)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7.03
26P 미리보기
임철우 소설 『이별하는 골짜기』에 나타난 죽음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91권 / 159 ~ 184페이지
    · 저자명 : 김혜경

    초록

    본고는 임철우의 『이별하는 골짜기』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이별하는 골짜기』는 인간의 트라우마에 대한 저항의 과정과 그들의 아픔을 위로하는 과정을 서사화한 작품이다. 더불어 폭력과 희생으로 일그러진 비극에 관해 초월적 관점의 질문을 포함한다. 이는 우리의 암울한 시대를 마구잡이식으로 고발하거나 표면화하기 보다는 성숙한 시각에서 근원을 추적하고 성찰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특이 이 소설에서 거론하는 다양한 죽음들은 그들이 겪었던 역사적이며 개인적인 상처와 고통에 대한 극단적인 선택으로써 개연성을 갖는다. 소설 속 죽음의 형태들은 「가을-별어곡 시인」의 빨강머리의 죽음과 「여름-이별의 골짜기」의 아내의 죽음, 「겨울-귀로」의 다케코의 죽음과 사다코의 죽음, 「봄-손가락」의 탈영병의 죽음 등이 모두 자살이다. 특히 「가을-별어곡 시인」의 빨강머리의 죽음과 「겨울-귀로」의 다케코, 사다코의 죽음은 참담한 현실 도피에서 비롯된다. 죽음으로 내몰린 소녀들의 죽음은 처절한 삶을 무화시키고자 하는 구원의 몸짓이다. 반면 「여름-이별의 골짜기」의 아내의 죽음과 「봄-손가락」의 탈영병의 죽음은 자신에 대한 죄책감과 분노를 이기지 못한 죽음이다. 그들은 자기 자신에 대해 극단적이며 폭력적인 살해로서의 죽음을 선택한다. 이는 자신의 육체를 스스로 파괴함으로써 삶 자체를 포기하는 파멸적인 것이다. 그러나 임철우는 소설 내에 비극적인 죽음의 형태들을 제시하면서도 각각의 인물들이 품고 있는 고통의 상처들을 치유한다. 그는 소설 곳곳에 다채로운 ‘나비’를 등장시켜 죽은 이들을 소환하고 원혼을 달래주는 제의의 장을 펼쳐낸다. 이는 죽음의 실재성과 부정성을 초월하고 인간의 원한과 원망을 씻어주는 치유이다. 또한 숭고한 미적 승화로의 해원의 장치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작가에게서 발견되는 죽음 의식이 ‘죽음보다 못한 삶으로부터의 탈주’와 ‘자기 구원을 위한 몸부림’이며, ‘폭력으로서의 자기 살해’와 같은 ‘규범의 무화’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시에 죽은 자와 산 자의 풀지 못한 한을 털어내고 고통을 위로하려는 ‘해원의 과정’임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인간의 상처에 관한 증언과 한풀이의 과정이 소설의 바탕에 깔린 임철우 방식의 인간애적인 투영이며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지향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draft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death in “A Parting Valley” by Chul Woo Lim. “A Parting Valley” shows the process of human resistance against trauma and the process of consolation to the hurt. Especially the historical wounds and pains experienced by the characters are expressed as various types of death whereas “death” is an extreme form of pain.
    Types of death in the story are mainly suicide. A ginger girl’s death in “Fall - Byeoleogok Poet”, a wife’s death in “Summer - A Parting Valley”, death of Dakeko and Sadako in “Winter - A Way Home”, and a deserter’s death in “Spring - Finger” are all suicides. The death in “Fall - Byeoleogok Poet” and the death in “Winter - A Way Home” began from the escape from the bizarre reality. The death of girls who were cornered to die was in fact a gesture of salvation.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 death in “Summer - A Parting Valley” and the death in “Spring - Finger” are deaths originated from sense of guilty and outrage against themselves. They chose death as of an extreme violence against themselves and a self-murder. The deaths they chose are self-destructing because it destroys their physical body which leads to give up their lives. The author presents different types of tragic deaths but at the same time, he recovers the wounds of pain that each character carries. Various “butterflies” appear throughout the stories, and they call the dead, and console the souls for their grief. The butterflies represent the figure that transcend the actuality and denial, and that heal the grudge and resentment of human beings. On top of these features, it is also the basis of lofty artistic sublimation.
    Through the analysis, this article verifies that the author recognizes death as the nullification of the norm and violence whereas the death is “an escape from the life that is worse than death”, “a struggle for self-salvation”, and “self-destruction”. The author also shakes out the unhealed wounds of the living and the dead, and consoles them for their pain simultaneously. This is philanthropic reflection and projection of the author throughout the fi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