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죽광대 놀이의 극본복원을 위한 고찰 (The study of Chukkwangdae play andits contents restor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3.06
32P 미리보기
죽광대 놀이의 극본복원을 위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용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용사학 / 14호 / 7 ~ 38페이지
    · 저자명 : 최흥기, 한경자

    초록

    탈춤과 솟대타기를 하는 죽광대는 약 1925년 이후로 사라진 한국의 전통연희문화이다. 그들은 울산 도화골에서 거주하는 동민으로써 그 지역의 서낭당 신격인 ‘울산서낭당각시인형’을 모시고 영남권 지역을 유랑하며 공연한 전문연희단체이다.
    그들의 연희 내용은 민속학자 송석하에 의해 『오광대소고(五廣大小考)』에서 기록되었는데 죽광대는 곡예하며 가면극을 부속으로 하는 연희 단체라고 정의했다. 그리고 민속학자 최상수에 의해 연희 내용이 구체적으로 밝혀졌는데 이에 대한 기록을 이 논지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정리하였다.
    죽광대놀이는 곡예 마당에서 6과장과 탈놀이 마당에서 6과장으로 총 두 마당에 열두 과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곡예마당은 1과장 울산서낭당각시인형 출현과장, 2과장 등광과장, 3과장 매귀악과장, 4과장 무동과장, 5과장 죽방울과장, 6과장 솟대과장이며, 탈놀이마당은 1과장으로 오방신장무과장, 2과장 노장과장, 3과장 양반과장, 4과장 영노과장, 5과장 할미과장, 6과장 사자무과장이다.
    극본의 구체적인 내용은 최상수의 기록인 “비교 결과 가장 충실히 그 원형을 보존한 것은 마산(馬山) 것이요”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탈놀이 부분이 복원되었고, 곡예마당도 역시 최상수의 기록에 의해 구체적으로 연희의 극본이 만들어 졌다. 특히 죽광대놀이는 곡예부분에서 ‘솟대타기’가 주 종목이며, 이 솟대 타기의 형상은 영남권의 여러 사찰에서 괘불탱으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사찰의 그림은 형상을 복원하는데 보다 귀중한 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죽광대 놀이의 ‘죽광대 곡예마당’․‘죽광대 가면극마당’의 극본을 구체적으로 복원하였다.

    영어초록

    Chukkwangdae who perform korean mask dances(Talchum) and Shotdaetagi(a kind of performance on the string) are korean traditional play culture disappeared since 1925.
    As they are residents living in Dohwagol, Ulsan, they worship Ulsanseonangdang bride doll and are professional play group who are performing a play, wandering Young-nam district. The contents of their play were recorded by a folklorist Song seok-hwa's O-kwangdaesogo. He defined Chukkwangdae as play group performing circus and masque. The contents of their play were revealed by A folklorist, Choi sang-soo.
    Chukkwangdae play consisted of two plays, which are scene 6 of circus and scene 6 of mask dance. Scene 1 of circus is about Ulsanseonangdang bride doll, scene 2 Deongkwang, scene 3 Maegiak, scene 4 Mudong, scene 5 Jukbangul, scene 6 Shotdaetagi and scene 1 of mask dance is about Obangsinjangmu, scene 2 Nojang, scene 3 Yangban, scene 4 Youngno, scene 5 Halmi, scene 6 Sajamu.
    The specfic contents of the play were restored by the record of Choi sang-soo who said to keep its original form well was Masan's play, the specfic contents of the circus was made by the record of Choi sang-soo, too. Especially, Chukkwangdae play is that Shotdaetagi is main performance in circus, and the shape of Shotdaetagi appeared in altar portrait of Buddha of several temples of Youngnam district. This picture of the temple will be used for restoration of original form as valuable data. Chukkwangdae play was restored by this materials.
    The contents are Chukkwangdae circus in chapter 1 and Chukkwangdae mask dance in chapter 2.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용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