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南陽州 興國寺 大雄寶殿 包壁畵 保存處理方法에 관한 試論 (Study of Conservation Method about wall paintings of DawongBoJun of Heungguksa Templ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3.06
31P 미리보기
南陽州 興國寺 大雄寶殿 包壁畵 保存處理方法에 관한 試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39호 / 25 ~ 55페이지
    · 저자명 : 서정호

    초록

    대웅보전의 포벽화에 대해서는 현재 건물 뒤편 상단의 추녀에 걸려 있는 단청 기원문을 토대로 약간의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이 기문들을 살펴보면, 光武年間에 또 한 차례의 단청불사가 있었다는 기록이 걸려져 있다. 특히, 光武년 19C 후반의 단청불사에서는 상궁인 신씨가 왕과 왕비, 세자 및 대왕대비의 안녕을 기원하며 불사하다는 내용이 있어 주목 된다.
    한편, 사찰의 포벽화에 그려지는 도상들은 불교에 관련 된 불경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그림으로 표현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건물의 장식적인 의미를 갖고 있기에 매우 정성스럽게 그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물의 자연적인 손상뿐만 아니라 보수를 할 경우에도 건물의 보수비는 책정되어 있으나 포벽화에 대한 예산이 책정되어 있지 않아 아름답고 정성드려 그려진 포벽화들이 보수라는 명분으로 존재감 없이 사라져 왔다.
    포벽에 대한 보존처리는 건물을 보수하기 위하여 건축물을 해체 및 복원하게 되는 과정에서 벽화가 손상되지 않도록 해체한 후 다시 복원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벽화의 보존처리는 벽화를 해체하거나 원위치 복원 시 벽화에 가해질 수 있는 물리적인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이미 손상되었거나 물리적으로 약화된 벽화를 보존처리 함으로써 벽화의 손상이 계속해서 진행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최근에는 건물의 보수 등이 이루어질 경우 전문가가 설계 당시에 해당 건물의 포벽화의 가치를 평가하여 학술보고서에 과학적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모사도를 그려 놓거나 보존처리하여 보존하기 시작하였다. 지금까지의 보존처리 공사는 문화재보호법 제 18조의 규정에 의거하여 문화재청에 문화재 수리업체(보존과학업) 등록을 필한 업체에서 시행하는 것을 규정하고 있으나, 방법과 사용 제품에 대한 규준은 제안되지 않기 때문에 현장 보존처리자의 경험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흥국사의 대웅보전을 대상으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피해를 받는 벽화보존을 위하여 기존의 벽화 보존처리 방법과 사용 약품 및 보존처리 방법을 정리하여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하는 의미가 매우 크다고 본다.

    영어초록

    With regard to the wall paintings of DawongBoJun, its age can be slightly estimated based on the Danchong optative sentence on the eaves behind the current building.
    When the optative sentence is examined, there is a record there that in the late 18th century in the Gwangmu year, there had been another Buddhist service of Danchong.
    Particularly, in the Buddhist service of Danchong of the Gwangmu year in the late 19th ∼20thcentury, the contents of Buddhist service that the court lady Miss Shin wished good health for the king and queen, crown prince, and the grandmother of the king are noteworthy.
    Meanwhile, the statues painted on wall paintings of the Buddhist temple are not only represented with pictures so that the contents of Buddhist scriptures related to Buddhism can be understood easily but also have the decorative meaning of the building, so they are painted very elaborately. Nevertheless, due not only to the natural damage of the building but also to the justification of repair works, those beautiful and elaborately painted wall paintings have been disappearing because the budgets for the wall paintings were not appropriated although the costs of repairing the building were budgeted.
    The conservation of the walls is the process in which the buildings are dismantled and restored so that the wall paintings are not damaged in the course of dismantling and restoring the structures in order to repair the building. Accordingly, the conservation of the wall paintings is to protect the wall painting from physical damage that can be inflicted on the wall paintings when dismantling and restoring the wall paintings and to prevent the wall paintingsthat have already been damaged or physically weakened from being continuously damaged.
    Recently, when the building is repaired, the experts evaluate the value of wall paintings at the time of planning the applicable building and record the scientific data on academic journals or draw or retain the copy and in this way the conservation began to be conducted.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Article 18, stipulates that the conservation work should be conducted by the companywhich is registered as the cultural properties repair company in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but the conservation works up to nowhave been dependent upon the experiences of the field conservation managers since there are no regulations regarding the methods and the use of products in the conservation work process.So this thesis is meaningful in that it organized the existing conservation methods and the use of chemicals and presented the effective methods to conserve the wall paintings of DawongBoJun of Heungguksa Temple that have suffered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dam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