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로크와 라이프니츠의 본유주의 논쟁 -정신의 작용에 대한 지각- (Locke and Leibniz’s Controversy over Innatism -The Perception of the Actions of Mind-)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21.04
27P 미리보기
로크와 라이프니츠의 본유주의 논쟁 -정신의 작용에 대한 지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톨릭철학회
    · 수록지 정보 : 가톨릭철학 / 36호 / 71 ~ 97페이지
    · 저자명 : 이상명

    초록

    이 논문은 로크와 라이프니츠 간에 이루어진 본유주의에 대한논쟁을 연구한 것이다. 『인간지성론』 1권에 있는 로크의 본유주의에 대한 반박은 그가 내세운 지식 이론과 비교해보면, 본유주의를완벽하게 부정한 것이 아니라는 인상을 남긴다. 이 글은 로크의 본유주의 반박과 라이프니츠의 로크에 대한 비판을 비교 분석하고, 라이프니츠가 본유주의를 옹호하는 견해를 살펴봄으로써 그 이유를 찾아보려 한다. 로크는 본유주의를 반박하면서 본유주의자들이주장한 ‘보편적 동의’라는 근거를 논박하는데, 이것은 결국 보편적동의라는 경험적 증거를 경험적 사례를 통해서 그리고 경험주의적기준을 적용해서 논박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의 반박은 오히려 동일률과 모순율 같은 본유 원리는 경험적으로 증명할 수 없다는 점을 드러내는 것이 된다. 그리고 이것은 라이프니츠가 필연적 진리와 사실의 진리를 구별하지 못했다고 로크를 비판하는 지점이 된다. 또한 우리가 본유적이라고 가정되는 원리나 진리에 어떻게 자연적 역량을 이용해서 도달하게 되는지에 대한 로크의 설명은 이성적 추론에 대한 지각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 이성적 추론에대한 지각은 곧 로크가 감각과 더불어 관념의 원천으로 인정한 정신의 내적 작용에 대한 관찰, 즉 반성을 통해서 얻은 지식이다. 이성적 추론을 통해서 얻은 지식은 로크가 말하는 증명적 지식을 구성하는 것이고 반성적 인식은 이성주의자들도 모두 인정하는 지식이다. 라이프니츠도 우리에게 내재적이고 잠재적인 본유 진리에대한 인식은 주의를 집중하고 순서를 지키는 것이 필요한 이 반성적 인식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로써 로크가 본유주의를 거부한다고 명시적으로 밝히기는 하지만, 로크의 경험주의적지식 이론이 이성주의와 공통적인 부분이 있는 만큼 이성주의자들이 본유주의를 옹호하는 입장과도 유사한 부분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controversy over innatism between Locke and Leibniz. Locke’s refutation against innatism in Book 1 of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leaves the impression that, compared with his theory of knowledge, it is not completely denial of innatism. This article compares and analyses Locke’s refutation against innatism with Leibniz’s critique of Locke, and tries to find out the reason for it by looking at Leibniz’s views in advocating of innatism. Locke refutes innatism, refuting the “universal consent” asserted by the innatists, which in turn refutes the empirical evidence of universal consent through empirical examples and by applying empiricist criteria. Hence, his refutation rather reveals that innate principles such as the principle of Identity and the principle of contradiction cannot be proven empirically. And this becomes the point where Leibniz criticizes Locke for failing to distinguish between nesessary truth and truth of fact. In addition, Locke’s account of how we use natural faculties to reach a principle or truth that is supposed to be innate involves the perception of reasoning. And the perception of this reasoning is knowledge gained through observation of the inner actions of the mind, that is reflection, which Locke recognized as the source of ideas with sensations. The knowledge gained through reasoning constitutes the demonstrative knowledge of Locke, and reflective cognition is knowledge that rationalists all recognize. Leibniz argues that our recognition of inherent and virtual innate truth is possible through this reflective cognition, which requires attention and order. Hereby, although this explicitly states that Locke rejects innatism, it can be said that Locke’s empiricist theory of knowledge has a part in common with rationalism, so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parts similar to the rationalists’ position in advocating of innat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