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주국 시기 北滿洲의 농업경영과 농민층의 변화 (The Agricultural Management and Change of Peasant Class in Northern Rural Areas of Manchukuo Period)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7.12
52P 미리보기
만주국 시기 北滿洲의 농업경영과 농민층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93호 / 223 ~ 274페이지
    · 저자명 : 윤휘탁

    초록

    만주국 시기 북만주에서는 토지의 개방과 불하 등 ‘개척’ 과정에서 소수의 특권층에게 대규모의 토지가 분배ㆍ불하되면서 토지소유의 극심한 불균등 현상과 농민층의 양극화가 초래되었다. 게다가 중국의 關內로부터 대규모의 流移民이 만주로 유입되면서 농촌에서는 농업 노동력의 과잉상태가 나타났다. 그 결과 만주국 시기 북만주 농촌에서는, 남만주나 일본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부농(大農)과 중농을 중심으로 대규모의 雇農ㆍ半雇農ㆍ빈농들이 衛星처럼 그들 주위를 떠돌면서 값싼 노동력을 제공하는 상황이 출현했으며, 이로 인해 부농(대농)경영이 상대적으로 발달해 있었다. 그런데 만주가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된 이후, 만주국, 특히 북만주 농촌에서는 일본이 야기한 전쟁과 그로 인한 만주국의 대외적인 경제여건의 악화 및 전시통제정책의 실시, 전쟁 수행을 위한 농산물의 수탈과 노동력 징발, 일본인 농업 이민단을 위한 토지의 약탈 등으로 농업노동력이 부족해졌고 임금이 상승해 농업생산성이 저하되었고 농민생활도 궁핍해졌다. 이 과정에서 농민층이 下降分解하면서 자작농이 감소했고 소작농이 증가했으며, (반)고농의 급증현상도 나타나고 있었다. 이처럼 북만주 농촌에서는 태생적인 ‘개척지적 요인’과 후발적인 ‘식민지적 요인’이 서로 중첩되면서 동북아시아의 다른 지역과는 다른 독특한 농민층 구성과 농업적 속성을 드러내고 있었다

    영어초록

    During the Qing Dynasty and the Republic of China period, in the northern part of Manchuria, most of its land have been distributed to privileged classes in the process of pioneering. Because of that, a few owned the majority of the land and many did not own the land. In the northern part of Manchuria, the distribution of land was uneven and the polarization of the peasant class was serious. In addition, large-scale poor people from China came to the north of Manchuria. As a result, there were a lot of agricultural workers in Manchurian rural areas, and they were looking for jobs. Therefore, in the northern part of Manchuria, agricultural wages were low and labor power was abundant. So, as the large landowners managed to employ a large number of low-wage workers to manage their own farms and large-scale agricultural management was also developing in the northern part of Manchuria. However, after Manchuria became a Japanese colony, Japan caused many wars. Therefore, the export environment of Manchukuo was deteriorating. In addition, the colonial authorities of Manchukuo have implemented policies to control the economy to carry out wars. And she has taken the land of the peasant, agricultural products and labor force of Manchurian farmers. As a result, the agricultural labor force in Manchukuo became scarce and wages of agricultural workers were rising. Therefore, in the northern part of Manchuria, large-scale agricultural management became increasingly difficult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was falling. Also, the life of Manchurian farmers was gradually getting poorer. In addition, the farmers' class was dismantled, the number of agricultural workers decreased, and bankrupt farmers and agricultural workers increased rapidly. In short, in the northern rural areas of Manchuria, the frontier element and the colonial element interacted to reveal distinctive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other regions in Northeast 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