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비 초등 교사의 무용 수업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Dance Class)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5.02
17P 미리보기
예비 초등 교사의 무용 수업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과학기술 / 11권 / 1호 / 53 ~ 69페이지
    · 저자명 : 송미숙

    초록

    본 연구는 무용의 활성화는 무용교육에 달려있다는 전제 하에 초등학교 수업을 이끌어갈 예비초등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무용수업에 대해 살펴보고, 교육현장에서 적용되어질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예비초등교사로 J교대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12명으로 2014년 8월부터 10월까지 약2개월 동안 3번의 질문지, 6∼9번의 개별인터뷰, 2번의 집단인터뷰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laser & Strauss의 근거이론적분석법을 이용하여 포괄적인 인터뷰 내용에서 공통적 단어를 구분하고 그 의미에 맞게 분류하여, 이를 시간, 관계의 흐름에 따라 인식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무용수업에 대한 인식은 과거 무용수업경험과 예비초등교사로서의 경험이 사회적인 인식, 교육적 지식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앞으로 하게 될 무용수업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무용수업을 독립된 교육과정으로 인정하기 보다는 체육의 한 종목으로 인식하였으며, 교수자의 의지와 학습환경, 여건에 따라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이러한 무용수업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목적의 부재, 즐거움, 전문성 세가지요소로 긍정적인 요소보다는 부정적인 요소가 지배적이었다, 초등교육현장에서부터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무용교육은 평생여가활동으로 무용, 무용공연관람, 무용전공자 수의 감소로 이어질 것이며 무용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감소할 것이다. 보다 쉽고 즐거운 무용수업, 배움이 있는 수업 목표탐색, 생각을 공유하는 학습활동의 구현, 다양한 무용학습활동의 개발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On the assumption that the activation of dance depends on dance education, this study purposed to survey how dance class is perceived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ill lead future danc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which is the place for the most basic dance education, and to provide opportunities to think about strategies for rooting dance education into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seniors at J University of Education, and data were collected for about 2 months from August to October, 2014 through 3 questionnaire surveys, 6‐9 individual interviews, and 2 group interviews. From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drawn out common words using Glaser & Strauss’ grounded theory method, and the word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meaning, and the process of perception was analyzed along the flow of time and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tudents’ perception of dance class that they would serve in the future as a teacher was affected by their past experiences as an elementary school child and their experiences as a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the interaction of these experiences with their social perceptions and educational knowledge. The participants perceived dance class not as an independent curriculum but as a part of physical education, and thought that the class may be skipped depending on the teacher’s will, learning environment, and other consideration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resulting in such perception of dance class was the absence of purpose, which was followed by pleasure and expertise. They usually associated these factors negatively with dance class, and it was concluded that the participants would not conduct dance classes 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f dance education is not performed adequately in elementary school, it will lead to declines in dance activity as a lifelong leisure activity, in the enjoyment of dance performances, in the number of dance students, and ultimately in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dance. Now when all the other curriculums are seeking learner‐centered class environment, dance education also needs to be changed rather than insisting on existing learning methods and curriculums. That is, it is required to design easier and more pleasant dance classes, to explore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class, to implement learning activities sharing ideas, and to develop various dance learning activ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과학기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