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어로부터의 외치현상에 대한 담화기능적 분석 (A Discourse-Functional Analysis on Extraposition from Subject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0.08
20P 미리보기
주어로부터의 외치현상에 대한 담화기능적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28권 / 1호 / 198 ~ 217페이지
    · 저자명 : 조우영

    초록

    영어에서 외치현상은 문장의 구성요소 보문사구(Complementizer Phrase)나 전치사구(Prepositional Phrase)를 원명사구(source NP)로부터 문미로 이동시키는 운용이다.
    (1) a. A photo which was taken by the police arrived a'. A photo arrived which was taken by the police.
    b. A review of Sally's book was sent to him.
    b'. A review was sent to him of Sally's book.
    (1a)에서 주어 NP A photograph which was taken by the police로부터 CP which was taken by the police는 (1a')에서와 같이 외치될 수 있다. 또한, (1b)에서는 주어 NP A review of Sally's book으로부터 PP of Sally's latest book 역시 (1b')에서처럼 외치가 가능하다. (1a)에서 arrive는 비대격동사이고, (1b)에서는 타동사 send가 수동구문에서 was sent로 자동사의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1)에서 비대격동사와 수동구문에서 주어 NP로부터 CP나 PP가 문미로 외치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다음의 (2)예문을 살펴보자.
    (2) a. A man with blond hair whispered.
    a'. *A man whispered with blond hair.
    b. A man from Los Angeles criticized Mary yesterday.
    b'. *A man criticized Mary yesterday from Los Angeles.
    (2a)에서 주어 NP A man with blond hair로부터 전치사구 PP with blond hairs는 (2a')에서와 같이 외치될 수 없다. 또한, (2b)에서 주어 NP A man from Los Angeles로부터 전치사구 PP from Los Angeles는 (2b')에서처럼 외치가 허용되지 않다. (2a)에서 whisper는 비능격동사이고, (2b)에서 criticize는 타동사이다. (2)에서 (2a', b')의 비문법성은 주어로부터 CP나 PP의 외치가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처럼, 비대격동사와 수동동사 구문에서는 (1)에서와 같이 주어의 일부인 CP나 PP는 문미로 외치될 수 있지만, (2)에서처럼 비능격동사와 타동사 구문에서는 문장의 주어에서 어떤 요소도 빠져나갈 수 없다.
    먼저 주어로부터의 외치현상에서 나타나는 통사적 특성들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통사적 접근으로서 Move-α 분석인 Johnson(1985)의 비대격 분석과 Kayne(1994)의 좌초 분석, 그리고 Chomsky(1991)의 기저생성 분석과 그 한계점을 고찰할 것이다. 3장은 화용적 접근으로 Guéron(1980)의 의미해석 규칙과 Kuno and Takami(2004)의 담화 제약, 그리고 Enç(1991)의 담화기능적 분석 등을 살펴보겠다. 4장에서는 특정적 주어와 비특정적 주어가 서로 다른 위치를 차지한다. Kiss(1996)의 제안을 받아들여, 특정적 주어는 [Spec, RefP]로, 비특정적 주어는 [Spec, TP]에 위치한다고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제 5장은 본 논문의 결론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nvestigates extraposition possibilities of complement clauses (CP) or prepositional phrases (PP) out of subject NPs. Movement and non·movement approach have been proposed on extraposition from subjects. But syntactic approach alone has limitations in explaining extractability of CPs or PPs from subject NPs. Building on the semantics of Specificity (Enç1991), this paper offers a discourse-functional account for the puzzling data in extraposition from subjects. In the course of this, this paper introduces a new projection RefP (Kiss1996), extending Split CP of Rizzi(2004). It turns out that (non)specificity of a subject is conclusive to judging the (im)possibility of CP or PP extraposition out of subjects. In a word, extraction of CPs or PPs is only possible when subject NP is discourse-anaphoric, and thus specific in the domain of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