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더니즘-해체주의 척도의 디자인 양식기술 가능성 (The Possibility of Design Style Description by the Modernism-De-constructivism Scale)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1.05
12P 미리보기
모더니즘-해체주의 척도의 디자인 양식기술 가능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24권 / 2호 / 23 ~ 34페이지
    · 저자명 : 지상현

    초록

    본고에서는 디자인 양식 체계의 한 척도로 해체주의 차원(척도)을 제안했다. 그러기 위한 전 단계로 의미표현 모형에 기초한 양식기술연구, 지각이론에 기초한 거시적 양식기술 연구, 정보미학에 기초한 영상 매트릭스의 순으로 관련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필자가 개발한 지각이론에 기초한 미시적 양식기술체계를 검토하며 이 체계 속에 있는 윤곽과 관련된 양식척도들이 해체주의 양식과 잘 들어맞는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해체주의 양식은 윤곽의 해체를 주요한 특징의 하나로 삼고 있다. 이는 필자의 양식기술체계의 토대가 되는 지각이론이 윤곽을 핵심적인 시각 정보로 간주하고 있다는 점과 일치한다. 이런 맥락에서 해체주의가 양식전반의 중요한 특징을 다루고 있다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시각의 중요한 속성을 건드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추론을 토대로 하되 시각적 양식에만 국한했을 때, 모더니즘과 해체주의가 길항적인 성격을 갖고 있으며 단일한 양식차원의 양극단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이론적으로 탐색했다. 그 다음 디자인 양식에서 해체주의 차원의 타당성, 신뢰성을 이론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몇 기업의 심볼마크 디자인을 해체주의 차원 위에 위치시켜 보았다. 경험적 검증을 거친 것은 아니지만 해체주의 차원 위에 손쉽고 고르게 분포되었으며 그 양상이 해체주의 혹은 포스트 모던 양식과 모더니즘 양식에 대한 미술학적 상식과 들어맞는 것으로 보였다.
    마지막으로 모던-해체주의 차원이 디자인 양식사를 기술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으며 미술사나 산업사와 디자인사를 구별시켜주는 양식변화의 하나의 동인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논의했다. 이와 더불어 국가 및 시대별 양식 분석, 디자인 교육에 어떤 유용성을 갖는지도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As one of the description systems of style for describing the style of design, the scale of deconstructionism has been proposed. As the phase prior to that, related studies were analyzed in the order of the research of style technology based on the meaning-expressive model, macroscopic research of style technology based on the theory of perception and image matrix based on the information aesthetics. Finally, the style description system based on the theory of perception developed by Sang-Hyun Ji was reviewed and identified that the style scales related to the outline in the system matches the deconstructionism style.
    The deconstructionism style takes the deconstruction of outline as one of the major characteristics. This corresponds with the point that the theory of perception, which becomes the foundation of the style technology of Sang-Hyun Ji, considers the outline as the core visual information. In such context, the possibility that the deconstructionism is dealing with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overall style could be found. That’s because it handles the important properties of vision.
    Based on such inferences, the point that modernism and deconstructionism have the antagonistic nature and they can be the two extremes of the continuum of single stylistic feature was theoretically investigated. After that, the designs of some corporate symbol marks have been placed over the scale of deconstructionis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level of deconstructionism in the design style. Even though they did not go through the empirical verification, they were easily and evenly distributed over the level of deconstructionism and their patterns seemed to match the common knowledge of art on the patterns of deconstructionism or post-modernism and modernism.
    Finally, the possibility that the level of modern-deconstruction can become the foundation that makes it possible to describe the design history and be one of the drivers of pattern change which distinguishes art history, industry history or design history was discussed. In addition, the analysis of style by nation and period along with usefulness influencing the design education were investig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