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블룸하르트가 한국교회에 주는 교훈 (A Lesson of Christoph Friedrich Blumhardt for Korean Churche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1.02
23P 미리보기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블룸하르트가 한국교회에 주는 교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73호 / 919 ~ 941페이지
    · 저자명 : 윤성민

    초록

    본고에서 저자는 아들 블룸하르트의 생애와 그의 신학이 작금의 한국교회에 줄 수 있는 교훈을 살펴보았다. 그는 아버지 요한 크리스토프 블룸하르트가 뫼틀링겐의 영적 전쟁에서 얻은 인식 ‘예수는 승리자이다!’라는 선포, 부흥, 그리고 바트 볼의 공동체의 영향을 받으면서 성장하였다. 아들 블룸하르트의 삶을 4기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시기에 그는 아버지와 같이 선포하고 설교하면서 아버지 블룸하르트처럼 사역하였다. 블룸하르트 아버지와 아들의 치유 개념은 개인적인 치유를 넘어선 고통 받는 모든 피조물의 회복을 바라는 것이었다. 이것은 오늘날 한국교회가 생태 신학을 강조하고 에코-라이프를 사는 일에 도전을 준다. 두 번째 시기에서 아들 블룸하르트는 ‘죽어라, 그리하면 예수가 산다!’고 강조한다. 그는 부흥 뒤에 찾아오는 설교자의 영웅주의, 그리고 하나님 나라를 위한 헌신이 아닌, 자신의 기도응답만을 추구하는 신앙생활이 죽어야 함을 말하였다. 이런 모습이 제도화가 되면 교회는 그 생명력을 잃어버리고 오히려 생명을 죽이는 종교가 된다. 아들 블룸하르트가 지적한 이 모습은 오늘날 한국교회에서도 유효하다. 특히, 코로나19 상황이 가져다준 ‘뉴 노멀’에서는 모든 이들의 유익을 실천하는 공동의 선(善)을 추구해야 한다. 기독교적인 이기주의와 기독교적인 육의 모습으로 더 이상 전도와 선교를 할 수 없다. 세 번째 시기에서 그는 ‘너희 인간들은 하나님의 것이다!’라고 선포하면서 노동권을 위해 독일 사회민주당에서 투쟁한다. 그는 예수는 사회주의라는 선포와 함께 노동운동에 헌신하였다. 그는 예수는 승리자라는 인식이 사회적 지평에서 어떻게 확장되는지를 보여주었다. 한국의 노동 현장에서는 고 김용균 씨처럼 매일 6명의 노동자가 죽어가고 있다. 노동운동을 위한 한국교회의 연대는 계속 되어야 한다. 정치 일선에서 물러난 그는 네 번째 시기인 ‘하나님의 나라는 다가온다!’라는 선포와 함께 칼 바르트가 말한 ‘서두름과 기다림’의 완성된 모습을 보여준다. 하나님 나라를 위해 서둘렀던 그가 그 시대 뒤로 물러나 그 시대를 바라보면서 예언자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세상에 사회의 악은 항상 존재해 왔다. 그럼에도 우리는 여전히 희망하고 저항하면서, 변화할 것 같지 않는 세상에서 희망을 가지고 기다리는 이유는 ‘예수는 승리자이다’라는 외침 속에 하나님의 정의와 공의가 이루어질 메시아적 시기를 오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life of Blumhardt, a son of Johann Christoph Blumhardt, and the lesson of his theology for recent Korean churches. Christoph Friedrich Blumhardt grew up under the influence of the declaration and revival of the perception ‘Jesus is a victor’ that his father Johann Christoph Blumhardt obtained during the spiritual war in Mötlingen, and the community of Bad Ball. Son Blumhardt’s life can be classified into four stages. In the first period, he proclaimed and preached with his father and preached like father Blumhardt. The healing concept of father and son Blumhardt was to look for a recovery of all creations suffering, beyond personal healing. This gives a challenge to Korean churches today for eco-theology and eco-life. In the second period, son Blumhardt emphasized that ‘Die. Then Jesus lives!’. He said a preacher’s heroism after revival and the religious life that only pursued one’s own prayer response, not a devotion to the kingdom of God, should die. When these aspects are institutionalized, a church loses its vitality and becomes a religion, which kills lives. This issue pointed out by son Blumhardt is applicable even to Korean churches today. Especially, Under the ‘New Normal’ situation brought from COVID-19, we have to seek the ‘Common Good’ for advantages of all people. It is no longer possible to preach and do missionary work with Christian egoism and Christian fleisch. In the third period, he fought as a member of the Social Democratic Party of Germany for labor rights, declaring that ‘You humans belong to God!’. He proclaimed that Jesus was socialist and devoted himself to labor movements. He displayed how the perception ‘Jesus is a victor’ expanded on the social horizon. In Korean labor sites, six laborers die each day like the late victim Kim Yong-gyun. The ties among Korean churches for labor movements must continue. In the fourth period when he took a step back from politics, he showed a complete look of ‘haste and wait’ that Karl Barth stated, declaring that ‘The kingdom of God is coming!’. After taking a step back from the haste for the kingdom of God, he played a prophetic role looking at the age. Social evils have always existed on earth. Nevertheless, the reason why we are waiting with hope in the world that does not seem to change, still hoping and resisting is that the messianic era accomplishing righteousness and justice of God will come in the shout ‘Jesus is a vict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