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러시아 이주 고려인의 노래에 담긴 서정성 (Lyricism in Songs of the Migratory Koreans of Russi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08.04
24P 미리보기
러시아 이주 고려인의 노래에 담긴 서정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학 / 14호 / 37 ~ 60페이지
    · 저자명 : 엄경희

    초록

    1860년대 초에 시작된 러시아 극동지역으로의 한인 이주와 재이주의 역사는 러시아의 소수민족에 대한 억압 정책에 따라 수많은 고난과 고통을 수반하면서 진행되었다. 고통스러운 생존 기반 속에서 불리어진 고려인들의 노래는 한민족 역사의 일면을 증거해주는 자료일 뿐만 아니라 이주민들의 고통과 슬픔, 희망, 꿈, 의지 등을 내포한 주요한 음악적ㆍ문학적 유산이다. 본 논의는 러시아 이주민의 노래에 담긴 서정성을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내면적 정감의 세계가 지닌 의미와 의의를 밝히는 데 그 연구 목적이 있다.
    러시아 이주 고려인들의 노래에 담긴 서정성은 그 내용 면에서 고향, 사랑, 자연 등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첫째. 고향의 향수를 노래한 작품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으로 <이별가>류가 많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 같은 고향노래에는 고향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과 떠난 자의 고달픔, 소외감 등이 표현되어 있으며 아울러 정처 없이 떠도는 디아스포라적 삶의 비애와 불안감이 노래로 반복되어 나타난다. 한편 <고향노래>류에는 고향에 대한 '낙원의식'이 동반되기도 한다.
    사랑의 정감을 노래한 작품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이별의 슬픔과 떠나간 님에 대한 그리움의 서정이다. 더불어 고려인의 사랑노래의 또 다른 특징 가운데 하나는 처녀 총각의 연애를 명랑하고 유쾌한 가사로 드러내거나 사랑의 감정을 노골적으로 표현한 노래가 적지 않다는 점이다.
    고려인들의 자연서정은 그들의 생업 기반인 꼴호즈에서의 농업활동 혹은 고본질과 깊게 연관된다. 생활과 노동과 자연이 하나로 융화되어 있는 것이 그들의 자연인식이라 할 수 있다. 이들 노래는 기쁨과 활기, 보람, 젊음과 같은 내적 정서를 동반하고 있다는 점이 그 특징이다.

    영어초록

    The history of migrating and re-migrating the Koreans(Корё сарам) to Far Eastern Russia from the early 1860s had accompanied them with multitudinous ordeals and pains forced by repressive policies on the minor nations of Russia. The multitudinous songs sung by the Koreans on conditions of their painful lives have been not only evidences of an aspect of histories of the whole Korean but also important musical and literary inheritances that had contained pains, sorrows, hopes, dreams, and intentions of the migrants. This study has purposed to illuminate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s of the inward emotional world of the Korean migrants of Russia (as followed by the Soviet Union) by analyzing the lyricism in songs of them.
    In the pont of contents, the lyricism in songs of them had largely consisted of three elements as homeland, love, and nature.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songs about nostalgias for homelands of them had been the fact that many of the songs had belonged to the kind of ‘tearful parting songs.’ These had expressed not only their arden homesickness, weary migrant lives, and alien emotions, but also repeatedly pains and anxieties of their wandering lives alike as of the Diaspora. On the other hand, these had been accompanied with a ‘consciousness of paradise’ memorizing the homeland.
    In songs about their emotions of love, the lyricism had been expressed mostly as the sorrow of tearful partings and the longing for parted lovers and familiars. And one of the other aspects of the songs had been a characteristic of which a considerable number of them had described love affaires of virgins and bachelors with cheerful and pleasure words, or expressed plainly their amorous feelings.
    The natural lyricism in them had deeply related with agricultural labors of the Koreans in the kolkhoz as a base of their lives. It is to be said that their lives and labors had been merged in their recognition about nature. These sung by them had have a characteristic being accompanied with their inner emotions as joy, activity, fruitfulness, youth, etc.
    It is the fact that the pains as of the Diaspora had been intrinsic in the homesickness or in the afflictions of tearful parting in songs of the Koreans. But it must also be a remarkable fact that another one lyric stem had been formed by the positive lyric world expressing bright, cheerful, and healthful inwards of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