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여성의 상호문화변용 (The Mutual Acculturation between Married Immigrant Women and Korean Wome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7.04
35P 미리보기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여성의 상호문화변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다문화와 평화 / 11권 / 1호 / 45 ~ 79페이지
    · 저자명 : 송민애

    초록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여성의 상호문화변용의 자료를 수집하여 근거이론으로 분석한 결과, 자녀양육, 언어, 직업이나 이웃 등의 접근성과 정보교류의 맥락적 요인은 중심현상인 ‘중층 공간에 위치’한 다문화 주체들의 친밀한 교제나 평형 유지 등과 밀접한 관련을 보였다. 그리고 다문화 주체들의 성격, 이중국적, 해외경험 등의 개인적 자원이나, 가족과 사회 지지체계의 관계적 자원 그리고 신앙 경험의 중재적 조건에 따라 중심현상의 강도에 변화를 야기하며 마주하기, 경계넘나들기, 경계허물기, 상호의존하기, 상호존중하기의 단계들로 나타나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통해 중심현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여성들의 상호문화변용은 그 관계가 지속됨에 따라 다문화적 지평 확장으로 나타나는데 그 변화의 정도나 차원에 따라 개인적, 사회문화적, 세계적 차원에서 개별성, 통합성, 상호성으로 나아가는 다문화적 지향을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sults of the mutual acculturation with Korean Women as well as the only acculturation of the immigrant women. These multicultural subjects exposed their own stories and were analysed as the positive as well as negativ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principal formation might be founded as the acceleration or the impediments for their mutual interaction. Generally the immigrant women as well as Korean women faced many difficulties and felt prejudices while their raising children in the patriarchal society. Therefore their mothering experiences between them might be mediators for understanding each other. These mothering process might help them extracting the result of more active mutual accultur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vivid experiences of the immigrant women as well as the Korean women. It was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on 19 participants who comprised of 9 immigrant women and 10 Korean women. The data was collected and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within the theory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rom the analysis, the core phenomenon that persists in the process was analyzed by ‘located in the intermediate spaces’. This core phenomenon was emerging from the causal conditions of their acceptability of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passively or actively. The contextual conditions behind this phenomenon were affected according to the dimensions of information that they could access to and exchange each other. The immigrant women and Korean women interact more easily rather than the other community members and their experience of raising their children could identify themselves as a multicultural entity and empathy for maintaining close relationships.
    These multicultural subjects were mediated conditions of these personal, social, and religious resources. At this core phenomenon and interventional condition were shown their context through the relationships. Their personal sense of acculturation were analyzed as not only conflicts and incorporation but also acception. In other words, interactions of these multicultural entities exist in the intermediate space can reach out beyond the boundaries. Acceptance and avoidance degree for their multi-cultural phenomena as their boundary extension through the lapse of time. To become as the inner group members, the community barriers had to be collapsed and need a process of mutual dependence and mutual respect. There is a specific change is confirmed in 5 steps. Step 1: facing, step 2: boundary crossing, step 3: boundary break down, step 4: interdependence, step 5: respect to each other. The results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these action / interaction strategies were able to see that the subject of multicultural immigrant women can be changing the cultural horizons of Korea women through the process analyses. Finally the consequences were made and divided into individuality, integration. There is reciprocity gradually expanded. These changes might be caused of the change in the personal, social, cultural, and global levels.
    The discussion within this study used a sociological, educational, and counselling perspectives on the context of multicultural and global society and proposed the paradigm shift. Especially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praxis in pastoral counselling even in the perplexed and confused spaces. Therefore,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Kingdom of God can be exposed in the diversity and unity through the mutual acculturation process and supporting of all members of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다문화와 평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