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해주 한인디아스포라와 독립운동 (Korean Diaspora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Russian Far East)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5.05
33P 미리보기
연해주 한인디아스포라와 독립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90호 / 211 ~ 243페이지
    · 저자명 : 윤상원

    초록

    해외 한인디아스포라의 독립운동에서 러시아 원동 연해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가장 활발한 ‘독립운동 기지’ 중 하나였다. 특히 러시아내전 기간에는 ‘디아스포라 과제’와 ‘민족해방 과제’가 하나로 결합돼 있었다. 하지만 내전 종결 이후 연해주에 사회주의 사회를 건설해야하는 단계에서는 ‘디아스포라 과제’와 ‘민족해방 과제’가 혼종돼 나타났다. 내전 이후 이전 한인 빨치산들 중 많은 이들은 생산 현장으로 들어갔고, 일부는소련 정규군으로 복무했다. 또한 내전 시기 정치투쟁에 나섰던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 계열 인물들이 연해주로 돌아와 한인 디아스포라의 지도자가 됐다. 이를 통해 그들은 소련혁명의 완수라는 ‘디아스포라 과제’ 해결에나섰다. 한편, 내전 이후 연해주를 떠나 간도 그리고 중국 관내로 나아간이들도 있었다. 상해파 고려공산당 계열 청년들이 중심이 돼 조직한 적기단이 대표적이다. 연해주에 남은 이들은 조선 혁명을 지도하기 위한 기관을 설립했다. 그 결과 1925년 서울에서 조선공산당이 창립됐다. 조선공산당의 창립과 소일협약의 체결로 ‘디아스포라 과제’와 혼종돼 있던 연해주한인들의 ‘민족해방 과제’가 분리되기 시작했다. 결국 1925년을 분기점으로 연해주 한인사회는 ‘민족해방 과제’보다는 ‘디아스포라 과제’에 치중하게 됐다. 그 결과는 1920-30년대 연해주 한인사회의 발전으로 나타났다.
    다른 한편 연해주는 ‘독립운동 기지’의 역할을 러시아 내에서는 모스크바에, 그리고 중국 만주와 관내에 넘겨주었다.

    영어초록

    The Russian Far East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broad, serving as one of the most active and significant “base for the independence movemen.” During the Russian Civil War, the “diaspora agenda” and the “national liberation agenda” were deeply intertwined, forming a unified objective. However, with the end of the civil war and the onset of socialist state-building in the Russian Far East, these two agendas began to manifest in a hybridized form. Following the war, many former Korean partisans transitioned into roles within industrial production sectors, while others enlisted in the regular Soviet army. At the same time, figures affiliated with the Irkutsk faction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who had been engaged in political struggle during the civil war—returned to the region and assumed leadership positions within the Korean diaspora community. In doing so, they redirected their efforts toward the fulfillment of the Soviet revolutionary project, reframing it as part of the broader “diaspora agenda.” Concurrently, some Korean activists departed from the Russian Far East and moved into Manchuria and inland China. Among them, Jeokgidan, organized primarily by young cadres from the Shanghai faction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exemplifies this outward movement. Those who remained in the Far East established institutional structures aimed at directing the Korean revolutionary cause.
    This culminated in the founding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in Seoul in 1925.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and the signing of the Soviet-Japanese Agreement, the previously entangled agendas of diaspora construction and national liberation among Koreans in the Russian Far East began to diverge. The year 1925 thus marked a critical juncture at which the Korean community in the region increasingly prioritized the “diaspora agenda” over the “national liberation agenda.” This shift was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and consolidation of the Korean community in the Russian Far East throughout the 1920s and 1930s.
    Simultaneously, the role of the Russian Far East as a strategic “base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transferred—within Russia to Moscow, and in China to Manchuria and the interior reg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