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나당전쟁기 漢山州의 關防體系 정비와 晝長城의 位相 (Organization of Hansanju Province(漢山州)'s defense system and the status of Juzhangseong Fortress(晝長城) during the Silla-Tang War)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3.12
56P 미리보기
나당전쟁기 漢山州의 關防體系 정비와 晝長城의 位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군사 / 129호 / 269 ~ 324페이지
    · 저자명 : 권창혁

    초록

    672년 완공된 晝長城(현 남한산성)은 한강 유역, 즉 漢 山州 방면 최대의 병참 지원기지이자 비상시의 淸野入保까지도 수행 가능한 거점으로서, 그 전례 없는 규모 및 입지, 발전된 축성 기술 등의 요소를 통해 볼 때 해당 지역의 기존 關防 체계의 한계를보완하려는 취지에서 축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궁극적으로 이는남한강 수로를 매개로 國原(小京)城과 州治 사이의 연계를 보다 강화하면서 王京 및 남부 방면의 인력과 물자 등을 漢山州 방면까지 원활히 유통시키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했을 것이다.
    이 晝長城은 본래 668년 이래로 전후 처리를 둘러싼 나당 간의갈등이 심화되는 한편 신라가 옛 고구려의 영토 및 주민을 대상으로 보다 적극적인 북진경략을 추진하는 역사적 상황에서 그러한 신라의 전략적 움직임을 후방에서 지원하기 위해 처음 계획되었으리라 생각된다.
    다만 672년 8월 석문전투의 패전을 계기로 직후 守城·持久戰 전략이 채택됨 따라 다소 급박하게 완공되었던 것이 아닐까 한다. 그러나 완공 이후 이 晝長城은 그 특별한 규모 및 입지를 활용하여인력과 물자의 수용·집결 및 보급과 같은 병참 지원 및 비상시의淸野入保을 통해 漢山州 관내의 종심 방어망을 유지하고 강화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전문 군사조직으로서 (漢山州)節末幢과 같은 부대가 晝長城 등지를 중심으로 활동하였을 가능성도 상정해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漢山州의 晝長城을 필두로 國原城 등의 新·增 築을 통한 전국적인 關防 체계의 정비가 완성된 673년 후반부터, 부담스러운 장거리 원정을 강요받았던 당군에 비해 병참 등의 諸요소에 있어 신라군이 상대적인 우위를 차지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더 나아가 이는 당연히 將兵들의 전반적인 사기 증진 및 전투력 유지와도 직결되는 요인이었던 만큼, 궁극적으로는 나당전쟁 자체가사실상 신라의 승전에 가까운 형태로 종결될 수 있었던 중요한 원동력 중 하나였다고 이해할 수 있다.

    영어초록

    Completed in 672, Juzhangseong Fortress(晝長城, currently Namhan sanseong Fortress) was the largest logistics support base in Hansanju Province(漢山州), and was a base capable of even long-term sit-in warfare in times of emergency. Considering factors such as its unprecedented size, location, and advanced fortification technology, these fortress appear to have been built with the intention of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defense-in-depth system in the Han River basin. Ultimately, this served the function of strengthening the link between Gukwonseong Fortress(國原城/國原小京, currently Chungju) and the provincial capital of Hansanju(漢山州) through the waterway transportation of the Namhangang River(南漢江) and allowed for the smooth distribution of manpower and materials from the capital of Silla(王京) and the southern region of the realm.
    This Juzhangseong Fortress(晝長城) was originally planned to support Silla's strategic movements during the historical period in which the conflict between Silla and Tang Empire over post-war handling had intensified since 668, while Silla was pursuing a more active northward expansion strategy targeting the territory and residents of the old Goguryeo kingdom.
    But it was completed in a somewhat hasty manner as part of a war of attrition strategy that centered on castle defense that was adopted immediately following the defeat at the Battle of Seokmun Field(石門 戰鬪) in August 672. However, since its completion, this Fortress, based on its special size and location, contributed to maintaining and strengthening the strong defense-in-depth system within Hansanju Province through providing logistical support such as with regard to accommodation, concentration and supply of manpower and materials, as well as preparation for long-term sit-in warfare in case of emergenc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legions such as Julmaldang(節末幢), as a specialized military organization to carry out these logistical missions, were active in places such as Juzhangseong Fortress(晝長城).
    In conclusion, starting in late 673, when the nationwide defense system was completed through new construction, expansion, or remodeling of various castles, such as Juzhangseong Fortress(晝長城) and Gukwonseong Fortress(國原城), the Silla army gained a relative advantage over the Tang army in terms of factors such as logistics. Conversely, the Tang army was forced to undertake burdensome long-distance expeditions, making it difficult for it to demonstrate its combat capabilities properly.
    Furthermore, as this was a factor directly related to improving the overall morale of the soldiers and maintaining their fighting power,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was ultimately one of the important driving forces that led to the Silla-Tang War ending with Silla's vic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군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