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周代 宗廟의 기능과 그 의미에 대한 儒敎經典의 이해 (Understanding of Confucian scriptures on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an Jongmyo Shrine in Zhou(周) Dynasty era)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6.12
29P 미리보기
周代 宗廟의 기능과 그 의미에 대한 儒敎經典의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82호 / 45 ~ 73페이지
    · 저자명 : 서정화

    초록

    漢代 이후 근세기까지 수많은 왕조를 거치는 오랜 세월동안 ‘宗廟는 임금의 祠堂이다’라는 관념이 고착화되었다. 본고에서는 『論語』ㆍ『孟子』ㆍ『荀子』ㆍ『禮記』 등의 종묘 관련 기록들을 통해 ‘宗廟는 원래 임금의 正殿이었다.’라는 논의를 전개하였다. 동시에 漢代 이후 겪었던 종묘의 기능적 변화로 인해, 이후의 중국과 우리나라의 유학자들이 고전에 수록된 그것의 본의 및 그 상징성과 乖隔된 해석을 하게 되었음을 논하였다.
    先秦時期의 종묘는 爵位와 領土를 상속받은 통치자의 廟로서, 군주가 거처하면서 각종 儀禮를 진행하고 政令을 펼치던 곳이었다. 즉 그것은 天子와 諸侯 더 나아가 封地를 소유한 大夫 등의 治朝 공간인 正殿과 같은 역할을 하였다. 초대 군주로부터 작위와 영토를 상속받아 온 여러 세대의 天子 및 諸侯와 大夫들은 族의 종통으로서 ‘位’에 오른 자이기 때문에 자신들의 廟에서 선군에 대한 제사 의례를 이행하였고, 그에 따라 그들의 正殿인 廟에 ‘宗統이 되는 자의 廟’라는 의미의 ‘宗廟’라는 명칭이 형성되었다. 아울러 그러한 當代 君主의 宗廟나 初祖의 太廟가 아닌 특정한 廟는 廟主의 이름을 붙여서 일컬었다.

    영어초록

    For a long time while it going through many dynasties from Han(漢) dynasty to the last century, the idea that ‘the Jongmyo Shrine(宗廟) is a king's shrine’ had been fixed. In this paper, the argument that ‘the Jongmyo Shrine had been originally a king's ruling place’ was developed through the records related to the Jongmyo Shrines in 『the Analects of Confucius(論語)』, 『Mencius(孟子)』, 『Xunzi(荀子)』, 『Book of Rites(禮記)』 and others. And at the same time, it was explained that the later confucian scholars from China and Korea have incorrectly interpreted the meanings and symbolism of it that contained in the classic, because of the functional changes of Jongmyo Shrines experienced since the Han Dynasty.
    Jongmyo Shrines in the pre-Qin Dynasty era(先秦時代) were the Myo(廟, a house of the upper class) building of a ruler who had inherited a title of nobility and territory, and the place where a king resided, preformed a diversity of rituals and issued political orders. In other words, it played the same role as a ruling place where a king, feudal lords and furthermore, noblemen owning bestowed land governed and have an audience. A number of generations of kings, feudal lords and noblemen who had been inherited noble titles and land from the first king were those who were raised to their 'position' as the leader of their nation, so they performed ancestral rituals for their late king in their Myo(廟) buildings. Accordingly, the Myo(廟) building as their ruling place came to have the name of 'an Jongmyo Shrine(宗廟)', which means 'the Myo(廟) for the one, who is a leader of his nation.' In addition, the specific Myo(廟) rather than such an Jongmyo Shrine of that age ruler and Taemyo Shrine(太廟) of the first ruler was called by appending the name of the person who was the owner of the My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