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沆瀣 洪吉周의 文章中原 探索 (An Exploration into Hanghae Gil-ju Hong(沆瀣 洪吉周)'s Literary Center Field(文章中原))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08.08
28P 미리보기
沆瀣 洪吉周의 文章中原 探索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27권 / 27호 / 383 ~ 410페이지
    · 저자명 : 이홍식

    초록

    본고에서는 복잡하고 난해한 ‘숙수념’이라는 공간을 탐색하기 위해 그것과 성격이 유사한 또 다른 공간, 즉 문장의 중원에 주목하였다. 문장의 중원은 홍길주가 오랜 사유와 긴 문학 여정을 통해 다다른 가상의 공간으로, 구조적인 측면에서 ‘숙수념’과 닮아있어 『숙수념』 연구의 좋은 길잡이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문학의 궁극적 지향점을 내포하고 있어서 홍길주의 문학세계를 조명할 때에도 힘을 발휘할 수 있다.
    다만 본고에서는 문장중원을 통해 홍길주의 공간적 상상력의 실체를 밝혀 향후 『숙수념』 연구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는 만큼, 문장중원의 공간적 특수성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 결과 문장중원에 투영된 공간적 상상력의 근원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추출할 수 있었다. 첫째, 문장중원은 깨달음을 통해서만 접근이 가능하고 회의를 통해서 끊임없이 검증되는 공간이다. 둘째, 차이와 동일성이 공존하는 공간이다. 셋째, 정해진 도구와 정해진 장소와 정해진 해석이 없는 공간이다. 넷째, 대립의 소통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장되는 공간이다.
    이상 제시한 네 가지 특징은 문장중원을 넘어 ‘숙수념’이라는 공간을 지탱하고 유지하는 필수적인 요소가 되는 만큼, 『숙수념』을 연구함에 있어서 방향을 잃지 않게 하는 나침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홍길주의 개성적 문학을 탄생시킨 중요한 질료가 되는 만큼, 향후 문학 연구에 있어서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order to explore into a complicated and unintelligible space called ‘Suksunyeom(孰遂念)' which was originally devised by Hanghae Gil-ju Hong(沆瀣 洪吉周), this study focused upon Munjang Jungwon(文章中原, literary center field), another space with similar nature as Suksunyeom.
    The literary center field or Mungjang Jungwon was a virtual space which Hong reached through many years of speculations and long literary journey, and also has a potential of good guiding model for our contemporary studies on ‘Suksunyeom', because it resembles Suksunyeom in structural aspects. Furthermore, his literary center field encompasses certain ultimate destination of literature, so it may have its own influences upon our contemporary academic efforts to illuminate his literary world.
    However, as long 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unjang Jungwon and thereby uncover the reality of Hong's spatial imagination to prepare a foothold for follow-up studies on ‘Suksunyeom', this study focused on making clear spatial distinctiveness of Munjang Jungwon.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deduce four major sources of Hong's spatial imagination projected into Munjang Jungwon. That is, it was found that Munjang Jungwon(literary center field) is a space accessible only by realization, a space requiring ceaseless verification through skepticism, a space where differences go together with identicalness, a space without any certain tool, location or interpretation, and a space expandable ever through mutual communications between opposed entities.
    Summing up, it is concluded that these four major sources of Hong's spatial imagination form the pivotal framework that supports and maintains his space of ‘Suksunyeom' beyond his literary center fie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