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게이주츠자(藝術座)의 조선순업(朝鮮巡業)과 연극<부활>공연 ―게이주츠자의 조선순업과 식민지 조선 연극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Geijutsuza's Colonial Korea Tour and the Play ―the Relation with Geijutsuza's Colonial Korea Tourand Colonial Korea's Play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8.12
36P 미리보기
게이주츠자(藝術座)의 조선순업(朝鮮巡業)과 연극&lt;부활&gt;공연 ―게이주츠자의 조선순업과 식민지 조선 연극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극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극예술연구 / 62호 / 125 ~ 160페이지
    · 저자명 : 이상우

    초록

    1910년대에 식민지 조선의 청년, 소년들을 매혹시켰던 사상가이자 문학자 톨스토이의 사상과 문학, 그리고 특히 ‘카츄샤’로 대변되는 소설『부활』의 영향은 어떤 것이었을까. 그리고 그것은 어떠한 경로를 통해 1910년대 조선에 유입되고, 널리 대중적으로 유행되었을까. 최상덕과 김기진의 회고를 통해 보면, 191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톨스토이의 유행에는 <카츄샤>라는 연극과 유행가, 그리고 신문관 발행의 번역소설『부활』이라는 배경이 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고는 톨스토이 사상과 문학의 표상인 <부활>의 식민지 조선 유입 및 유행경로의 역할을 했던 두 차례에 걸친 게이주츠자(藝術座)의 조선순업(1915, 1917)과 그 문화적 파급효과에 대해 고찰한다. 나아가 게이주츠자의 제1차 조선순업, 그 영향을 받고 출범한 예성좌(藝星座)의 공연, 그리고 게이주츠자의 제2차 조선순업과 그 이후에 나타난 토월회(土月會) 공연의 관련성에 대해 비교 분석한다.
    본고는 게이주츠자의 <부활>공연이 지방순업 레퍼토리로서 어떠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는지, 1・2차 조선순업에서는 그것이 다른 레퍼토리들과 비교해서 어떠한 역할과 비중을 차지하였는지, 그리고 그것이 이후 예성좌와 토월회의 <카츄샤>공연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또 예성좌와 토월회의 <카츄샤>는 게이주츠자의 <부활>과 비교할 때 어떠한 비교연극사적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 고찰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1910~2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일종의 톨스토이즘(Tolstoyism) 현상으로서 연극<부활>의 공연이 나타나게 된 점에 대해 주목한다. 이를 위해 『경성일보』, 『매일신보』 등 신문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연극사적 사실을 복원하고, 이를 토대로 그 문화사적 의미를 파악한다.

    영어초록

    In 1910's, Colonial Korean Youth were intensely attracted by the idea and literature of Tolstoy, who was a famous Russian thinker and novelist. Especially, they were seriously affected by Tolstoy's novel 『Resurrection』, or Katyusha, who was the heroine of 『Resurrection』. This thesis focus on the problems witch Tolstoyism came in Colonial Korea in 1910's through Colonial Korea tour of Geijutsuza's play <Hukkatsu>(復活; Resurrection), and it spreaded to people widely. Through those process, especially the theme song <Katyushano Uta>(カチューシャの唄; Katyusha's Song) gained popularity with 'Tolstoyan', who some Korean youth were attracted by the idea and literature of Tolstoy.
    The theatre company Geijutsuza, a playwright Shimamura Hogetsu led, made two times tour in Colonial Korea in 1915 and 1917. Geijutsuza's first tour caused influence Yeseongza's play <Katyusha>(1916), and it's second tour aroused Towolhoe's play <Katyusha>(1923). However, Colonial Korean theatre company members of at that time could not accepted Geijutsuza's spirit for Shingeki(新劇; modern drama), just imitated the popularity of Geijutsuza's melodrama <Hukkatu>. That was limitation that accepting Japanese Tolstoyism of Colonial Korea's theatre company members in 1910's and 192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극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