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복장 다라니 연구 -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고려시대 복장 유물>과 관련하여 - (Dhāraṇī from the Inner Recess of the )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5.03
37P 미리보기
&lt;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gt; 복장 다라니 연구 -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lt;고려시대 복장 유물&gt;과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39권 / 117 ~ 153페이지
    · 저자명 : 문상련

    초록

    본 논문은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복장에서 수습된 다라니를 분석한 것으로, 먼저 이를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고려시대 복장 유물> 중 7종 다라니와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각 다라니에 기록된 시주자 명칭의 동일함을 바탕으로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고려시대 복장 유물>은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에서 수습된 것이라는 전제를 마련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고려시대 복장 유물> 중 3종 발원문의 분석을 통해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은 1302년에 주성(鑄成)된 것이며, 창녕군부인(昌寧郡夫人) 장씨(張氏)와 법영(法永), 김도(金瑫) 등이 조성 주체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7종 다라니의 분석을 통해 <아자 원상 수구다라니>는 <구미 금강사 금동약사여래입상> 복장에서 수습된 다라니와 동일 목판에서 인출된 것임을 말했으며, <범자 원상 다라니>의 경우 기존 연구에서 이를 ‘준제진언’이라 칭했던 오류를 수정하여 그 안에 ‘보루각진언’이 쓰여 있음을 말하였다. 그리고 1301년에 간행된 <금강계 삼십칠존 종자 만다라> 도상은 일본 헤이안(平安)시대 말기에 저술된 제존요초에 유사한 도상이 실려 있음을 통해 이 다라니는 중국 송대(宋代)를 즈음에 유행한 ‘불정만다라’의 형식을 차용한 것임을 추정하기도 하였다.
    이외에 1301년에 간행된 <금강계 삼십칠존 종자 만다라>와 1295년에 간행된 <범자원상 만다라>의 도상과 내용 분석을 통해 제종(諸種) 진언이 쓰여 있음을 말했던 바, 이들 제종(諸種) 진언은 당시인들의 원의(願意)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d the dhāraṇī recovered from the inner recess of the <Gilt-bronze Seated Amitabha Buddhist Statue of Daeseung-sa Temple in Mungyeong>. In the analysis, the dhāraṇī was first compared with seven dhāraṇīs among the <relics from the inner recesses of Buddhist statues from Goryeo Dynasty kept in the Onyang Folk Museum>. Through the foregoing, based on the identical offeror names recorded in individual dhāraṇīs,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the premise that the < relics from the inner recesses of Buddhist statues from Goryeo Dynasty kept in the Onyang Folk Museum> were recovered from the <Gilt-bronze Seated Amitabha Buddhist Statue of Daeseung-sa Temple in Mungyeong>.
    Based on the foregoing, it could be seen that the <Gilt-bronze Seated Amitabha Buddhist Statue of Daeseung-sa Temple in Mungyeong> was cast in 1302, and that Wife Jang of Changnyeonggun(昌寧郡夫人), Beopyeong (法永), and Kim Do (金瑫) were the main persons in the creation of the Buddhist Statue through an analysis of the prayer texts of three of the <relics from the inner recesses of Buddhist statues from Goryeo Dynasty kept in the Onyang Folk Museum>.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ven dhāraṇīs, it was said that the <亞-shaped circular Suoqiu dhāraṇī> was printed from the same woodblock as the dhāraṇī collected from the inner recess of the <Gilt-bronze Standing Bhaisajyaguru Statue of Gumi Geumgangsa Temple>, and in the case of <Sanskrit Characters circular dhāraṇī>, it was said that <Borugak Mantra> was written in it by correcting the error of the previous study that called it <Cundi Mantra>. In addition, it was inferred that the <bīja mandala in Vajradhātu thirty-seven disciples> iconograph published in 1301 borrowed the form of the ‘Nilakantha mandala’ that was popular around the Song Dynasty in China through the fact that a similar iconograph was included in the Zhū zūn yào chāo written in the late Heian period of Japan.
    In addition, through analysis of the iconograph and contents of the <bījamandala in Vajradhātu thirty-seven statues> published in 1301 and the<Sanskrit Characters Circular Mandala> published in 1295, it was said that the various kinds of mantras were written in them, and it was mentioned that these various kinds of mantras are valuable as data for understanding the wishes of the people at tha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1 오후